국정원 첩보 보고서 삭제 지시 혐의
14일 오전 10시 서울중앙지검 출석
박, SNS로 소환 공개 희망 의사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지난달 5일 오전 전남 목포시 삼학도 노벨평화상기념관 강당에서 김대중 리더십 아카데미 초청 강연을하고 있다.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제공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지난달 5일 오전 전남 목포시 삼학도 노벨평화상기념관 강당에서 김대중 리더십 아카데미 초청 강연을하고 있다.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제공

검찰이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박지원 전 국정원장을 오는 14일 소환 조사한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이희동 부장검사)는 박 전 원장에게 14일 오전 10시 검찰청사에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박 전 원장은 페이스북에 검찰의 소환 사실을 밝히며, 검찰과 변호인이 조율하겠지만 공개적으로 출석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 전 원장은 2020년 9월 해양수산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 씨가 북한군에 피살됐을 때 당시 상황에 대한 첩보 관련 보고서 등을 무단 삭제한 혐의(국가정보원법상 직권남용 등)로 올해 7월 국정원으로부터 고발당했다.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등이 비공개로 검찰에 출석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박 전 원장은 구속기소된 서훈 전 국정원장 후임으로 문재인 정부 마지막 국정원장을 지냈다. 

박 전 원장은 서해상에서 고(故) 이대준씨가 북한군에 피격·소각됐다는 첩보가 들어온 직후 열린 2020년 9월23일 새벽 1시 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한 뒤 이 사건 관련 첩보 보고서 등 46건의 자료를 삭제하도록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박 전 원장이 사건 당시 관계 장관 회의에 참석한 뒤 '보안을 유지하라'는 취지의 청와대 국가안보실 지시에 따라 국정원 문건 삭제를 지시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박 전 원장은 삭제 지시를 받은 적이 없고, 국정원 직원들에게도 관련 지시를 하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검찰은 박 전 원장 조사를 마친 뒤 서욱 전 국방부 장관과 일괄 기소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피격·소각 사실이 알려진 뒤 열린 관계장관회의 참석자들도 추가로 불러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당시 회의에 참석하지 않아 '패싱' 논란이 있었던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을 부를 가능성도 있다. 

검찰은 서 전 실장이 피살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강 전 장관을 회의에서 의도적으로 배제했다고 보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