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회 초 양의지 선제 투런포 불구 역전 허용
나오는 투수마다 위기 및 실점 허용
간신히 콜드게임 면한 대표팀 자력 본선 진출 물거품
체코·중국전 무조건 승리 필요 … 李 감독, "운용 실패 인정"
WBC 한국대표팀이 양의지의 선제 투런포 등 선취점을 획득하고도 일본의 높은 벽을 넘지 못하고 13대 4로 패하며 본선 진출의 실낱같은 희망의 불씨를 살리지 못했다.
10일 오후 7시 일본 도쿄돔에서 펼쳐진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 1라운드 일본과의 경기에서 벼랑 끝에 놓인 이강철 호는 선발투수로 ‘에이스’ 김광현(SSG) 카드를 꺼냈다.
타선은 테이블세터에 에드먼(2루수, 세인트루이스)과 김하성(유격수, 샌디에이고)이 나섰고, 클린업트리오는 이정후(중견수, 키움), 박병호(1루수, KT), 김현수(좌익수,LG)로 구성했다. 전날 지명타자로 출전했던 박건우(NC)가 6번 우익수로 출전했고, 강백호(KT)는 지명타자로 출전했다. 그 뒤를 ‘안방마님’ 양의지(포수, 두산)와 최정(3루수, SSG)이 받쳤다.
이에 맞선 일본은 다르빗슈(샌디에이고)를 선발 카드로 꺼냈다.
타선은 눗바(중견수), 곤도(우익수)가 테이블세터로 나섰고, 오타니(지명타자), 무라카미(3루수), 요시다(좌익수) 오카모토(1B)가 클린업트리오를, 그 뒤를 마키(2B), 겐다(유격수), 나카무라(포수)가 받쳤다.
경기 초반 한국대표팀은 선발 김광현이 첫 2이닝을 무실점으로 일본 타선을 꽁꽁 묶었고, 3회 초 강백호의 2루타와 양의지의 2점 홈런으로 분위기를 타기 시작했고, 이정후의 적시타까지 터지며 우승 후보 일본을 상대로 3대 0으로 앞서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분위기를 길게 이어가진 못했다.
3회 마운드에 오른 김광현이 갑자기 흔들리기 시작했고 한국은 마운드를 원태인(삼성)으로 교체했으나 일본에 3회 말 4실점을 빼앗기며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에도 5회 말 2실점을 하며 6대3으로 끌려간 대표팀은 6회 초 박건우가 도쿄 돔 천장을 가르는 1점 홈런을 터트리며 6대 4 추격의 의지를 불태웠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이어진 수비에서 마운드가 완전히 무너지며 6회 말 일본에 5실점을 헌납했고, 이어 7회 말에도 2실점 하는 등 경기 주도권을 완전히 내주고 말았다.
이날 선발로 나선 김광현이 초반 일본 타선을 상대로 연속 삼진을 잡아내는 등 ‘일본킬러’ 본능을 보여주는 듯했으나 3회 말 주자를 내보내며 2이닝 4실점으로 강판 됐다.
이후 등판한 원태인(삼성)은 2이닝 1실점으로 위기를 면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후 투입된 곽빈(두산)과 정철원(두산)이 나란히 1실점을 허용했고, 이어 나온 김윤식(LG)과 김원중(롯데)등 연이어 실점을 헌납해 일본을 상대로 13대 4로 끌려가며 굴욕적인 콜드게임 패배 위기에 놓였다.
이후 8회 초와 9회 초 공격을 맞이했으나 힘과 분위기 모든 걸 잃어버린 채 추가 득점 없이 경기를 13대 4로 마무리 지으며 간신히 콜드게임 패배를 면하는 등 자존심을 구겨야만 했다.
이날 패배로 2연패의 수렁에 빠진 한국대표팀은 자력 2라운드 진출에 ‘적신호’가 켜졌다. 한국이 2라운드 진출 희망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선 오는 12일 체코, 13일에는 중국과의 경기에서 최소 실점으로 승리를 거두어야만 희망의 등불을 켤 수 있다.
경기를 마친 후 이강철 감독은 ”전체적으로 힘든 경기를 했다. 초반에 승기를 잡았는데 투수 교체가 늦었다, 제가 운용에 실패했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