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신임 여전'..비서진들로부터 강한 신뢰

12일 단행된 청와대 참모진 인사에서 김기춘 비서실장이 유임됐다.

최근 야권의 사퇴압력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박 대통령의 외부행사에 잇달아 모습을 보이지 않아 김 실장의 사퇴론이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청와대 내 분위기는 김 실장 사퇴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였다. 박 대통령의 신임도 여전할 뿐 아니라 청와대 수석비서관 사이에서도 김 실장에 대한 신뢰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김 실장은 지난 4월16일 세월호 사고 이후 매일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 현안을 챙기면서 빈틈없는 지시와 협조로 수석 비서관들의 신뢰를 쌓아왔다고 한다.

게다가 지난 4월27일 정홍원 국무총리 사퇴의사 발표와 지난달 26일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 사퇴로 이어지는 국정공백이 우려되는 사태를 겪으면서 김 실장은 청와대 비서실을 중심으로 직접 국정까지 챙겨왔다.

이 때문에 청와대 안팎에서는 김 실장이 사퇴할 경우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도 총리 및 내각 인선 지연에 따른 국정공백을 우려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10일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앞으로 8월까지 세 달 동안 시급한 민생법안 처리와 새로 임명될 총리와 장관들의 인사청문회, 내년도 예산 편성과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등 중요한 국정 현안들이 예정돼 있다"면서 "모두가 긴장하지 않으면 국정이 느슨해지고 공백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 동안 김 실장의 유임은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해왔다. 또한 대통령의 비서실장에 대한 인사는 대통령의 고유권한으로 야권의 사퇴압력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김 실장의 거취는 박 대통령의 자존심과도 관련된 사안이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이날 김 실장의 유임을 결정함으로써 대통령 권한에 대한 '자존심'을 살리려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국정전반에 있어 박 대통령을 직접 보좌하고 있는 김 실장으로서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일부 언론에서는 김 실장 이하 수석들이 전원 사표를 제출했다는 보도가 나온 적도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수석들의 전원사표설은) 전혀 사실무근이며 김 실장을 흔들기 위해 나온 말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김 비서실장이 박 대통령이 참석한 청와대 외부행사에 4번 연속으로 함께 배석하지 않아 정치권 주변에서는 '혹시 김 실장이 사퇴할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불거져나왔다.

대통령이 참석하는 외부 행사에 비서실장이 배석하지 않은 건 이례적인 일로 김 실장은 지난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공공기관 워크숍'에 이어 29일 경기도 일산에서 열린 민군기술협력 박람회 개막식에도 수행하지 않았다.

지난 1일에는 서울 명일동 소재 명성교회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위로와 회복을 위한 기도회'에 불참했고, 6일 제5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도 대통령과 함께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청와대측은 "바쁜 일정이 있어 참석치 못할 수도 있다"면서 사퇴가능성과 관련한 의혹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또한 김 실장은 지난 28일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에 대한 수사방해 의혹을 제기한 심재륜 전 부산고검장을 명예훼손으로 검찰에 고발하고, CBS를 대상으로 '할머니 조문연출 의혹' 보도와 관련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는 등 언론기관에 대해서도 적극적 대응에 나서 '김 실장 유임론'이 다시 힘을 받기 시작했다.

현재로서는 김 실장이 계속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청와대 인사위원장으로서 개각과 청와대 비서진 개편 등 정부 내 인적 쇄신 작업을 마치고 취임 1년째가 되는 오는 8월 전후로 거취를 정리할 수 있다는 전망이 청와대 일각에서 나오는 정도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