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 여론에 '헌법상 독립기관이라 불가' 기존 입장서 '선회'
북한의 해킹 시도에도 국가정보원 보안점검을 받지 않겠다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입장을 바꿔 보안점검을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사무총장·사무차장 자녀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해 선관위는 자체 특별감사를 진행한 뒤 결과에 따라 감사원 감사 수용도 검토하기로 했다.
1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선관위는 행안위 전체회의를 하루 앞두고 행안위 측에 이런 의사를 전달했다.
앞서 선관위는 북한으로부터 해킹 시도가 있었는데도 행정안전부와 국정원의 보안 점검 권고를 거부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선관위는 '북한 해킹 내용이 언급된 메일과 문서를 국정원으로부터 통보받은 바 없고 선관위 정보 시스템의 피해 사례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해왔다.
국정원 보안점검에 대해서는 '헌법상 독립기관으로서 국정원 보안 컨설팅을 받으면 정치적 중립성 논란이 생길 수 있다'며 거부 입장을 고수했었다.
그러나 이런 선관위 입장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기존 입장을 바꿔 보안점검 수용도 검토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해서는 선관위가 전날 "이달 중 별도의 특별감사위원회를 설치하고 특별감사를 실시하겠다"며 사실관계 확인·조사에 나겠다고 밝혔다.
박찬진 선관위 사무총장 자녀와 송봉섭 사무차장 자녀가 지방 공무원으로 근무하다가 각각 2022년, 2018년에 선관위 경력직 공무원에 채용된 것을 두고 특혜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지적에 자체 감사를 진행하기로 한 것이다.
그러나 자체 감사에 대해서도 의심의 목소리가 나오자 선관위는 결과에 따라 감사원 감사도 받을 수 있다며 입장을 선회했다.
선관위는 지난 대선 '소쿠리 투표' 논란과 관련해서는 감사원 감사를 거부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