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졸업 이후에도 미취업 상태인 ‘청년 백수’가 126만명에 이른다는 통계가 나왔다. 이중 절반 이상은 학력이 대졸 이상이었다. 첫 취직까지 평균 10.4개월이 걸렸다. 실업은 개인 및 가계에 소득 기회를 상실시켜 인간다운 생활의 영위를 불가능하게 하고, 개인의 사회 참여를 어렵게 함으로써 자아 실현의 가능성을 떨어뜨린다.
대체로 청년들은 그 사회의 미래 일꾼들이다. 이들이 처음 직장에 나와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인격적으로 존중을 받는 것을 느끼면 희망이 있고 비전이 있는 사회가 된다. 국가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는 많지만, 특히 청년실업에 중점을 둬야 한다. 청년실업이 해결되면 저출산 등 국가 미래에 대한 고민도 사라진다.
우리 경제는 지금 정치의 혼돈 속에서 추락하고 있다. 그 피해자의 당사자들이 바로 청년들이다. 성장률이 둔화되고 실업율이 높아지고, 공장 휴폐업이 속출하고, 도심 곳곳에는 빈 점포와 빈 사무실이 늘고 있다. 경제가 정치의 시녀로 전락하고 있는 시점에 기업들은 더없는 혁신을 거듭해야 한다.
지난 27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청년층 부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15∼29세 청년층 인구 841만6천명 가운데 재학·휴학생을 제외한 최종학교 졸업자(수료·중퇴 포함)는 452만1천명이고, 이 중 126만1천명이 미취업 상태였다.
4년제(45만1천명) 및 3년제 이하(21만5천명) 대학 졸업자가 66만6천명, 대학원 졸업 이상자가 1만2천명으로 대졸 이상자가 전체의 53.8%를 차지했다.
고졸(52만4천명), 중졸(4만8천명), 초졸 이하(1만명) 등 고졸 이하의 비중은 46.2%였다. 평균 첫 취업 소요 기간이 3년 이상 걸린 경우도 32만4천명(8.4%)에 달했으며, 2년 이상 걸린 청년까지 범위를 넓히면 59만1천명(15.3%)이었다.
한창 일하며 경제활동을 해야할 청년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고 있는 것은 국가적 큰 손실이자 비극이다. 청년들의 대부분이 몇 년씩 걸려 대기업이나 공무원 등 안정적인 직업을 얻으려는 취준생들의 현실은 안쓰럽다.
지난 정부 시절 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청년 일자리 문제를 국가적 과제로 삼아 직접 챙긴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해결하지 못했다.
문제는 고용시장이 갈수록 어려워지면서 아예 구직 자체를 포기하는 청년들이다. 구직활동을 해도 안 되니 좌절감을 느끼다가 결국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하고 취직 준비조차 단념하는 것이다. 이는 정책 또는 예산 조치만으로 풀 수 없는 매우 구조적인 문제로 정부나 기업을 포함한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청년실업을 해결하지 못하면 국가의 미래는 어둡다. 청년 실업률이 고착화하면 결혼 시기가 더욱 늦어지고 이에 따라 저출산 문제가 더욱 심화한다. 청년 일자리는 안정적인 삶의 터전은 물론, 후속 세대의 출산과도 직접 맞닿아 있다. 현 정부는 국가의 미래를 결정할 청년 일자리 마련을 위한 신속하고 지속 가능한 방안이 필요하다.
허경태 기자
gjshstnf@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