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준 의원, 팩트체크 내부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아

국민의힘 홍석준 의원(대구 달서갑)은 17일 화요일 2023 년 한국방송공사(KBS)·한국교육방송공사(EBS) 국정감사에서 KBS 팩트체크 내부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고 불공정한 보도가 계속되고 있는 점과 KBS 경영진의 무책임하고 방만한 경영으로 인해 MBC, SBS 등 타 지상파 방송에 비해 적자가 상당히 많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지상파 방송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처분 건수에서 KBS 가 다른 지상파 방송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2021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법정제재가 KBS 8건, MBC 7건, SBS 7건, 그리고 행정지도가 KBS 75건, MBC 52건, SBS 40건으로 KBS가 상당히 많다"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덕재 KBS 부사장은 "시정해 나가야 될 부분"이라고 답했다.

또한 홍 의원은 "KBS 팩트체크 내부 시스템이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지난 3월 한일 정상회담 보도에서 KBS 앵커가 '윤석열 대통령이 일장기에 인사를 하고 우리 태극기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며
"정치도 경쟁도 외교에서는 멈춘다고 하는데 국민의 방송 KBS는 어떻게 이렇게 대통령 흠집내기에 몰두하고 있는지 KBS의 기본적인 자세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이어 "9월15일 문재인 정부 통계조작 사건 관련한 보도를 하면서 KBS는 메인뉴스인 9시 뉴스에서 6번째 꼭지에 배정하면서 그것도 한 꼭지밖에 언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반면 "SBS는 메인뉴스 8시 뉴스에 첫 번째부터 세 번째 꼭지까지 3개, MBC는 메인뉴스 뉴스데스크에 첫 번째부터 네 번째 꼭지까지 4 개 꼭지를 할애하며 KBS와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

이에 김 부사장은 "뉴스 편집과 관련해서 그 당시에 뉴스 가치에 대한 판단을 보도본부에서 나름대로 했다"며 "9시 뉴스는 1시간 가까이 이어지는데 6번째 꼭지가 매우 가볍게 다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고 답변했다.

홍 의원은 이날 추가 질의를 통해 KBS 경영진의 방만한 경영을 지적했다. 홍 의원은 "KBS가 2021년 327억원, 2022년 393억원 흑자를 기록하다가 작년 118억원 적자 올해 상반기에는 당기 손실이 무려 420억원이나 기록했다"며 김의철 전 사장과 현 경영진이 경영에 너무 무책임하다고 질타했다.

이에 김 부사장은 "올해 경제 상황이 광고시장의 위축과 KBS 특성상 상반기는 상황이 언제나 어려웠다"며 "가을부터 시작해서 연말까지 여러 가지 수입들이 잡히면서 경영상황이 회복하는 패턴을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홍 의원은 "KBS와는 다르게 SBS는 흑자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KBS의 적자 상황은 타 방송사에 비해 인건비가 36.3% 정도로 과도하게 높기 때문이라고 보고 여러 비용적인 문제에 있어서도 경쟁력 개선 노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은 또 "KBS 불공정 문제의 핵심은 내부 시스템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KBS 내부에는 건전한 견제·통제 장치가 없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