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연구중심의대’타당성
중앙지방협력회의서 尹에 건의
개원의’아닌‘의사과학자’양성
연구중심의대 의대정원 포함 땐
현재 의대 증원 갈등도 해결될 것”
尹 대통령 “적극 검토”답변 내놔

포스코에서 병원을 짓는다면 정부 예산이 지원될 필요가 없고, 첨예하게 대립 중인 의대증원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는 획기적인 방안이 제시됐다.
의대 증원 2000명에 포스텍 연구중심의대를 포함시키면 의료계에서 우려하는 '개원의' 증가가 아닌데다 우리나라 의료계에 반드시 필요한 '의사과학자'를 양성해 향후 우리나라 의료계 전체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발판이 마련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기존의 지방의대의 학생증원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이번 기회에 '연구중심의대'를 반드시 신설해 의대 증원에 따른 개원의 증가 우려를 불식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특히 포스코가 포스텍 연구중심의대를 신설하게 되면, 한강 이남에서 최고의 시설과 전문 교수직을 갖추게 되는데다 정치적 갈등요소를 크게 해소하고, 기업 이익의 사회환원 차원에서도 모범적인 사례가 된다는 점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달 27일 중앙지방협력회의에 참석해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신설'을 윤 대통령에게 건의해 긍정적인 답변을 이끌어 냈다. 이 지사가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을 정부의 의대 입학 정원 2000명 증원에 따른 갈등의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 지사는 이 자리에서 “포스코에서 병원을 지으면 정부 예산이 지원될 필요가 없으니 포항에 연구중심의대 설립도 희망이 있다"고 강조 하고, 국립안동대 공공의대 및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의 필요성을 촉구했다.
아울러 "포스코에서 병원을 건립하고, 포스텍 의대 설립으로 의료기반이 부족한 경북에 차별화된 의사과학자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등 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도민 건강권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경북도와 포항시, 포스텍은 탄탄한 바이오 인프라, 끈끈한 지역의료계와의 유대관계, 국가균형발전 문제 해결이라는 요건을 갖추고 있어 준비된 의사과학자 양성 지역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지난해 2월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 포스텍에서 간담회를 열고 포스텍 연구중심의대 설립의 당위성을 적극 설명한 바 있고, 이 지사는 이강덕 포항시장, 김성근 포스텍 총장,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 내정자에게도 직접 연락해 포스텍 의대 설립을 위해 사전에 철저하게 준비해줄 것을 요청했다.
정부가 의료계에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최근 의대 교수 사회에서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전원과 포스텍 연구중심의대를 포함한 공공의대를 정부가 제시한 2000명 안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의사과학자 양성과 공공병원 설립의 불가피성에 공감하는 일부 교수들은 현재 진행되는 의대 증원 논의에 이를 포함시켜 증원의 명분도 주고 향후 갈등을 사전에 막는데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2000명 의대 증원으로 의사 면허 총수는 그만큼 늘어나겠지만, 이 가운데 상당수를 의사과학자와 글로벌 인재, 공공의대 등에 배분하는 방식으로 개원의들의 이해를 구하고, 전공의들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