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서 직구 아이 가방 기준치 56배 발암물질
어린이용 연필·튜브서도 기준치 수십배 나와
물놀이 튜브 제품 두께 얇아 터져 익사 위험도
서울시, 중국계 쇼핑몰 제품 안전성 검사강화키로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한 어린이 제품에서 기준치의 최대 56배가 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해외 직구 온라인 쇼핑 플랫폼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파는 생활용품 31개를 대상으로 국가기술표준원 안전 인증기관으로 지정된 연구원 3곳에서 안정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8개 제품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8개 제품은 모두 어린이 용품으로 어린이용 가죽가방, 물놀이 튜브, 보행기, 목재 자석 낚시장난감, 사탕·바나나 모양 치발기, 캐릭터 연필, 지우개 연필등 이다.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된 알리 제품 일부.  연합뉴스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조사에서 유해 물질이 검출된 알리 제품 일부.  연합뉴스

 

검사 결과 어린이용 가죽가방에서는 발암 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7종 중 4종(DEHP, DBP, DINP, DIBP)이 검출됐고, 검출된 가소제 총합이 기준치의 56배에 달했다.이 물질은 불임 유발 등 생식 독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면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이 물질은 어린이용 물놀이 튜브에서도 기준치의 33배가 넘게 검출됐다. 
이 튜브 제품의 두께도 국내 기준(0.25㎜)보다 얇아(0.19㎜)  물놀이 중 터지면 익사 우려가 높다고 한다.

치아가 나기 시작하는 유아가 입에 물고 사용하는 사탕모양 등의 치발기의 경우 디자인과 형태가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높았고, 제품 강도가 약해 작은 힘에도 쉽게 손상돼 아이의 기도 질식 위험도 제기됐다.

어린이용 연필에서도 DEHP가 기준치 대비 35배 검출됐다.

보행기는 제품의 틈에 끼거나 베일 수 있는 문제, 낙상 위험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지난 7일 인천본부세관 역시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에서 파는 장신구 성분을 분석한 결과 404개 제품 중 96개(24%)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해외 직구 제품은 별도의 안전성 검사 없이도 국내에 쉽게 들어올 수 있어 유해 물질, 내구성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이날 중국 직구사이트 상품에 대한 유해성을 집중 조사하고 소비자 피해구제를 위해 전담 신고센터를 운영하기로 하는 등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안전확보 대책'을 발표했다.'

한편 지난해 국내 소비자의 해외 직구액은 6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기존에는 미국 직구가 대세였으나 중국 플랫폼의 공세로 작년은 절반 갸량(48.7%)은알테쉬(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 플랫폼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