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민주, 독선과 입법 폭주를 총선 민의라 우겨"
민주 "채상병 특검 거부는 국민과 싸우겠다는 소리"
대통령실 "안타까운 죽음 정치적으로 악용 나쁜 정치"
국회에서 통과된 '채 상병 특검법(해병대 채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것이 유력한 가운데 여야는 4일에도 이를 둘러싼 논란을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일방적 독선과 오만함은 결코 총선의 민의가 될 수 없다"고 비판하고 나섰고 민주당은 대통령 거부권 건의에 "총선 민의를 외면하려는 처사"라고 반박하고 있다.
국민의힘 정광재 대변인은 4일 민주당이 '채상병 특검법'을 강행 처리한 것과 관련해 논평을 내고 "언제까지 민주당은 독선과 입법 폭주를 총선 민의라 우기려는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정 대변인은 "채 상병의 안타까운 죽음에 대해 수사당국은 물론 공수처에서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수사가 한창 진행 중"이라며 "수사 결과를 기다려보고 진상 규명이 미진하다고 판단될 경우 특검을 요청하면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론 분열을 일으켜가며 힘으로 특검을 밀어붙일 일이 아니다"라면서 "이제까지 특검법은 여야 합의로 처리해왔음을 고려하면 이러한 무자비한 입법 폭주를 개탄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수사 중인 사안을 가로채 특검에서 다시 수사를 하게 되면 오히려 진상 규명을 위한 시일만 더욱 늦춰질 뿐"이라며 "민주당이 특검 처리를 강행한 배경에 다른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셈"이라고 했다.
또 그는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의 회담에 이어 이태원특별법까지 합의한 모처럼의 여야 '협치'라는 국민의 기대마저 민주당은 무참히 짓밟아버렸다"며 "지금까지 자신들만의 일방적인 주장을 민심으로 둔갑시켜 입법 독주에 나서는 민주당의 의회민주주의 파괴 행위는 두고 볼 수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윤 대통려에게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를 건의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국민의 분노가 임계점을 넘어 폭발한 4·10 총선의 의미를 아직도 외면하려 하나"라며 "덮어놓고 거부권만 만지작거릴 사안이 아니다"라고 반격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진실을 명명백백하게 밝히자는 것이 왜 나쁜 정치인가. 특검법을 거부하는 것은 민의를 거부하는 것이고, 국민과 싸우겠다는 소리임을 명심하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은 있는 그대로의 진실을 요구하며 총선 민의로 정부 여당을 심판했고 지금 70% 가까운 여론으로 특검 추진을 명령하고 있다"며 "해병대원 순직사건 특검법을 거부하는 것은 민의를 거부하는 것이고, 국민과 싸우겠다는 소리임을 명심하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국회도 더 이상 참지 않는다. 국민의힘에서도 윤 대통령이 해병대원 특검법에 덮어놓고 거부권만 주장한다면 22대 국회의 핵폭탄이 될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해병대원 사망사건 진상규명TF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 민심을 역행한다면 감당할 수 없는 국민적 저항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채상병 사건이야말로 특검을 도입해야 하는 대표적인 사건"이라며 "이 사건에 대통령실이 개입한 증거들이 온 천하에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국민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 거부권 행사 저지 행동에 나설 것이다"라면서 " 특검을 통해 진실을 밝히고, 책임자들에게 마땅한 책임을 지우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 등 야당은 지난 2일 국회 본회의를 열고 국민의힘이 퇴장한 가운데 '채상병 특검법'을 단독으로 상정·의결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대통령실에 거부권 행사를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은 같은 날 브리핑에서 "채 상병의 안타까운 죽음을 이용해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나쁜 정치"라고 비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