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에 설치된 포획틀에 잡힌 집쥐들.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독도에 설치된 포획틀에 잡힌 집쥐들.  대구지방환경청 제공

 

제1호 특정도서이자 천연보호구역인 독도에 집쥐가 급증하면서 생태계를 교란하자 정부가 관리 방안 마련에 나섰다. 

19일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내년 5월까지 연구용역을 통해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파악하고 퇴치·관리 방안과 추가 유입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독도 내 집쥐 유입은 2010년 생태계 모니터링 때 서도의 몰골 근처 자갈밭에서 사체가 발견되면서 처음 공식 확인됐다. 동도에선 2015년부터 집쥐가 확인되고 있다. 지난해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주민 등 사람과 독도경비대에서 기르는 삽살개, 지난해 3월 동도 부채바위 인근에서 관찰된 물개 1마리를 빼면 사실상 섬에 서식하는 유일한 포유류다.

독도에서 가장 가까운 육지는 울진군인데 이곳에서 200여 ㎞나 떨어진 독도에 어떻게 집쥐가 들어왔는지 알려진 바 없다. 다만, 쥐는 헤엄을 잘 쳐 배가 섬에 정박하지 않고 섬 가까이만 접근해도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과 짐을 싣고 독도로 들어온 선박을 함께 타고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섬에 들어온 집쥐의 개체 수는 2021년 기준 100~150마리로 추산됐으나, 섬 안에 다른 특이한 천적이 없고 암수 한 쌍이 1년에 새끼를 460마리까지 낳을 정도로 자연 번식률이 상당한 만큼 현재 정확히 몇 마리 서식하는지 집계되진 않지만 점점 개체수와 활동 영역이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차례 현장 조사 결과를 보면 동도 독도경비대 태양광 발전시설·영해기점표기석, 서도 어민 숙소 등에서 집쥐의 배설물과 굴이 관찰됐다. 

또, 지난해 5~10월 독도에 설치·운영된 무인센서카메라 5대의 영상 2만9410장을 분석한 결과 집쥐는 총 716회 포착됐다. 이 중에서도 서도 주민 숙소 쪽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가장 많은 359회(50.14%) 나타났다. 이어 동도 헬기장(126회), 등대 덱(96회), 서도 상부(88회), 동도 망향대(47회) 순이었다. 

이렇게 급증한 집쥐가 독도 바다제비와 볏과 식물류를 먹어 치워 생태계를 교란하자 대구지방환경청은 박멸보단 ‘적절히 관리’에 초점을 맞춰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집쥐의 완전 박멸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집쥐의 추가 유입을 막으려면 배와 사람의 왕래를 끊어야 하는데 독도의 역사·문화적 중요성을 생각하면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 무리한 방제작업은 오히려 개체 수 급증이라는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그동안 독도 접근성과 사업수행기관 선정 문제로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으나, 최근 관계기관이 의지를 모아 대책을 마련하기로 한 만큼 실태조사를 토대로 폐사체 처리방안, 추가 유입 방지 등 적정 관리 방안 마련에 초전을 두고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남건욱·김문도 기자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