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2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 서울대병원 분회 조합원들이 정부에 공공의료 대책 마련과 의사 증원 등을 촉구하는 피켓을 든 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2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 서울대병원 분회 조합원들이 정부에 공공의료 대책 마련과 의사 증원 등을 촉구하는 피켓을 든 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다음달 26일 하루 전면 휴진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이하 전의비)는 지난 27일 총회에서 다음달 26일 전국 의대 교수들이 다 함께 휴진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전의비는 29일 범의료계 조직인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 2차 회의 때 전면 휴진 여부를 최종 결정하기로 뜻을 모았다.

전의비는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와, 사직 시점을 당초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2월로 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이달 4일 전공의에 대해 내린 업무개시명령 등을 철회했지만, 의료계는 행정명령 '철회'가 아니라 '취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사직 시점을 정부의 행정명령이 철회된 6월이 아니라, 처음 제출한 2월로 해달라는 목소리가 크다.

수련기간 도중에 사직한 전공의는 1년 동안 같은 과목·연차로 복귀할 수 없어, 2월에 사직한 전공의만 내년 3월에 수련을 시작할 수 있다.

전의비는 내달 26일 전국 의대 교수들이 휴진한 뒤 올바른 의료정책에 대한 대토론회를 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다만 전국의 의대 교수들이 휴진에 동참하려면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등 전체 의료계와 합의해야 한다고 보고, 올특위에서 구체적인 방향을 결정하기로 했다.

올특위는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지난 20일 현 사태를 해결하고자 출범시킨 범의료계 조직이다.

의대 교수와 전공의, 시도의사회 대표 등 3인을 공동 위원장으로 두고 있다.

현재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과 임정혁 대전시의사회장이 공동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전의비에서는 최장민 위원장이 올특위 위원으로 참여 중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