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국가대표팀 감독선임과 관련하여 절차적인 문제와, 투명성 등의 문제로 여론이 시끄럽다. 그동안 협회는 한국 축구라는 인질을 볼모로 미숙하기 짝이 없는 행정을 하며 팬들의 비난과 개선 요구도 묵살해 왔다. 그리고 상급기관인 국가기관인 국회와 문화체육부의 지적에 대해 축구협회가 협박성 발언을 하며 나서는 지경에 이르렀다. 대한축구협회가 협회 행정에 정부가 개입할 경우 국제축구연맹(FIFA) 규정에 따라 월드컵 등 국제 대회 출전권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를 하고 나선 것이다. FIFA 정관 14조 1항은 “회원 협회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업무를 보장받아야 한다. 제삼자의 간섭을 받아선 안 된다”는 내용이고, 15조도 “어떠한 형태의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내용이 그것이다.

축협 관계자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문체부가 대표팀 감독선임 절차 등에 대해 조사한다고 해서 당황스럽다. 앞으로 조사는 협조하지만, 정치적인 압박은 FIFA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즉, 국민의 우려와 정부의 경고를 정치적 개입으로 해석하고, FIFA의 징계로 월드컵 출전이 막힌다고 본 것이다. 이런 행위는 국민과 정부에 대한 입막음용 협박이고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실제로 FIFA가 해당 조항을 근거로 경고 수준을 넘어서는 제재를 한 적은 여태껏 없다. 현재 협회가 놓인 상황과 가장 유사한 사례는 2010 남아공월드컵 16강 진출실패 후 프랑스의 감독 ‘도메네크’와 프랑스축구협회장을 국회 청문회에 세웠지만, 당시 FIFA는 실질적인 조치는 없었다.

축협은 지난 2월 ‘클린스만’ 감독경질 후 5개월이 지나서야 홍명보 감독을 차기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했다. 감독 선출과정도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은데다 전력강화위원으로 활동한 박주호선수의 행정적 절차에 대한 내부고발로 논란은 커졌다. 박지성, 이영표, 이천수, 이동국 등 많은 전 대표선수들도 이런 문제를 제기했다. 축구인들 뿐만 아니라 국민도 투명하지 못한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절차에 문제 제기를 하고 나섰다. 결국 문체부는 축협의 부적절한 운영 방식과 국가대표팀의 감독 선임 절차에 대해 직접 조사하기로 했고, 축협은 올해부터 공직 유관단체로 지정돼 문체부의 감사가 가능하다. 그리고 정부의 예산을 지원받으니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조직인 것이다.

그 어떤 협회나 조직 혹은 국가의 정부라도 국민의 뜻에 반하는 절차를 수행해서는 안 된다. 역사를 돌아볼 때 독보적인 세력의 출연은 국민의 크나 큰 저항과 항거, 그리고 투쟁을 야기한 것도 우민화된 국민의 힘을 만만히 본 그들만의 논리와 결과로서 모두 몰락했다. 협회는 어떠한 정치적 간섭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그 누구라도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 자신이 정치화되어 어느 누구의 감시와 감사를 거부하고 독립적인 독버섯처럼 운영되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축구는 몇 사람, 축구 관련자들만이 즐기고 누리는 특권이 아닌 우리국민 모두와 미래 세대들이 같이 향유해야 할 크나 큰 가치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FIFA는 이런 의미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정치적 개입을 언급한 것으로 축협의 참으로 우둔하고 독단적인 해석에 실소마저 금치 못한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