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OC는 2024 파리올림픽 개막 후 공식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통해 대회 각 종목을 소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최근 SNS 계정을 통해 '태권도'를 '유도'로 잘못 표기해 논란이 되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31일 "많은 누리꾼의 제보로 확인해 본 결과 태권도 영상 아래에 '#Judo'로 잘못 표기했다"고 밝혔다.
파리올림픽은 개회식부터 표기 논란으로 얼룩졌다.
개회식 당일 장내 아나운서가 '대한민국'을 '북한'으로 소개해 큰 논란을 빚었다.
지난 28일 펜싱 남자 사브르 개인전에서는 금메달을 딴 오상욱의 소식을 전하는 과정에서 ‘오상욱’의 영문 이름을 ‘오상구’로 오기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프랑스 언론이 한국과 일본의 국기를 합쳐서 한국 국기를 제작했고, 메달 집계 차트에서는 한국 순위를 소개하면서 태극기가 아닌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기를 잘못 써 빈축을 샀다.
호주에서 가장 대표적인 뉴스로 손꼽히는 '9NEWS'에서 파리 올림픽 종합 순위를 소개하며 한국 태극기를 중국 오성홍기로 표기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2024 파리 올림픽 개회식에서 일어난 실수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요청했고,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전화해 사과했고, IOC는 홈페이지를 통해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IOC의 실수가 잇따르자 서 교수는 "전 세계 곳곳에서 파리 올림픽에 관한 보도를 하며 대한민국에 대한 잘못된 표기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가 비난과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정당한 항의를 통해 올바르게 시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