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찬 광복회장은  "정부가 근본적으로 1948년 건국절을 추구하려는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광복회는 15일 열리는 광복절 행사에 나갈 수 없다"고 불참 의사를 명확히 했다.

이 회장은 10일 광복회학술원이 운영하는 청년헤리티지아카데미 특강에서 "용산에서, 보훈부에서 여러 회유책을 들어 행사에 참석하라고 했으나 거절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종찬 광복회장. 연합뉴스
이종찬 광복회장. 연합뉴스

 

그는 불참 이유로 "한국에 있는 반역자들이 일본 우익과 내통해 오히려 전전(戰前) 일본과 같이 가고 있다는 위기감이 들었다"며 "마지막 수단으로 결단한 것이 경축식 불참"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광복회가 광복절을 기념해 대통령실이 독립운동가 후손을 초청해 갖기로 한 오찬뿐만 아니라 정부의 광복절 경축 기념식에도 나갈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독립운동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건국운동"이라고 말함으로써 독립운동을 '이승만의 건국을 위한 준비운동'으로 규정하고, 해방 전 독립운동을 무력화하며 일본의식민 지배를 정당화했다는 것이 이 회장의 주장이다.

광복회는 "이런 설정이 잘못된 것이며, 1948년 건국절 추진을 공식적으로 철회하라는 것이 이번 항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