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위크 분야별 세계 최고 병원 선정
300위권내 암 병원 16곳 수도권 위치
1곳만 비수도권인 전남 화순에 소재
일본은 26곳 중 절반이 '비수도권'
수도권 쏠림현상적나라하게 드러나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수도권 쏠림현상이 미국 언론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19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보도한 '2025 월드베스트 전문병원'(World's Best Specialized Hospitals 2025) 평가 결과를 보면, 암(종양학·oncology) 분야에서 한국 의료 기관 중 삼성서울병원(3위)과 서울아산병원(5위), 서울대병원(8위), 세브란스병원(23위), 은평성모병원(37위), 국립암센터(40위), 분당서울대병원(57위) 등 7곳이 100위 안에 들었다.

 추석 연휴인 18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의료센터에 응급실 진료 지연 안내문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추석 연휴인 18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의료센터에 응급실 진료 지연 안내문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한국 의료기관들이 임상 분야별 세계 병원 평가에서 무더기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지만, 대부분은 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이었다.

비록 한국 의료의 우수성이 인정받은 셈이지만 수도권 쏠림현상이 극심한 상황임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암 분야 평가에서는 300위까지 명단이 공개된 가운데 여기에는 전남대 화순병원(116위), 강남 세브란스(161위), 원자력병원(162위), 고대구로병원(170위), 아주대병원(190위), 고대안암병원(202위), 여의도성모병원(227위), 강북삼성병원(251위), 인하대병원(256위) 등이 이름을 올렸다.

300위 안에 한국 병원은 모두 16곳이 포함됐으냐, 이 중 비수도권 병원은 전남대 화순병원이 유일했다.

일본의 경우 순위권에 든 26곳의 의료기관 중 절반인 13곳이 지방 병원이라는 사실과 대조된다.

이는 다른 임상 분야에서도 별반 차이가 없었다.

뉴스위크는 독일 글로벌 마케팅 전문 조사업체인 스타티스타와 함께 12개 임상 분야에 대해 수만 명 의료진에 의한 추천, 인증 데이터, 환자 치료 결과 등을 반영해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 대상 분야별로 한국 의료기관은 심장수술(150위까지 집계) 4곳, 심장(300위) 8곳, 소화기(150위) 9곳, 신경(!25곳) 8곳, 신경외과(125곳) 5곳, 산부인과(100곳) 3곳, 정형외과(150위) 9곳, 호흡기내과(150위) 9곳, 비뇨기과(125곳) 10곳이 순위에 올랐는데 모두 수도권 소재 병원이었다.

지방 소재 의료기관은 내분비 분야와 소아 분야에 일부 포함됐다.

150위까지 발표된 내분비 분야의 경우 한국 의료기관 21곳이 순위에 들었는데, 충북대병원(61위), 충남대병원(87위), 부산대병원(88위), 전남대병원(91위), 경북대병원(108위) 등 5곳이 지방 병원이었다.

250위까지 순위가 공개된 소아 분야의 경우 순위 내 한국 의료기관 25곳 중 계명대병원(133위), 부산대병원(136위), 충남대병원(148위), 경북대병원(164위), 충북대병원(166위), 충남대병원(195위), 건양대병원(230위) 등 7곳이 지방 소재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 진료역량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수한 의료진의 지역 의료기관 유입과 정착을 유도하고, 비수도권 의료기관에 대해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정부는 지역 거점 국립대의 의대 교수를 3년간 1천명 증원하고 실험·실습 첨단 기자재를 지원하며, 국립대 병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지역 필수 의료 거점으로 육성하는 지역의료 육성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의사들의 지방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내년부터 지자체가 선정한 의료기관에서 장기 근무하는 조건으로 월 400만원의 지역근무수당 등의 지원을 하는 '계약형 필수의사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