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회동에서 여권은 의료개혁을 둘러싼 내부 이견을 해소하고 의정 갈등의 출구를 만들어내야 한다. 지난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에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이탈한 지 7개월이 흘렀지만, 의사들이 '증원 철회' 요구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으면서 국민들의 인내심이 한계를 넘고 있다. 다행히 추석 연휴에 우려했던 의료 대란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의료취약 지대의 응급 체계는 붕괴 직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지금은 여권이 의료계에 백기투항을 요구하며 자존심을 내세울 때가 아니다. 무엇보다 여야의정 협의체에 의료계가 참여할 수 있도록 실질적 유인책을 마련하는 게 급선무다. 정부는 해법으로 '2026학년도 입학 정원 재검토'를 제시한 상태인데, 이것으론 부족하다는 지적도 유념해야 한다. 한 대표는 의료계 내부 의견도 고려한 현실적 대안을 강구해 공식 제안하기 바란다. 윤 대통령은 한 대표의 뜻이 자신과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면 대승적으로 판단하는게 바람직하다.
여권 내부에선 김건희 여사 관련 문제를 회동에서 짚고 넘어가야 하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명품백 사건에 화난 여론을 누그러트리기 위해선 김 여사의 공개 유감 표명과 제2부속실 설치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번 만남이 당정관계의 기로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회동이 민심 회복의 전기가 되지 못한다면 앞으로 특검 재의결 표결 때 여당 내 이탈표가 나오면서 여권 전체가 분열의 수렁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회동을 통해 낮은 국정지지율을 반전시킬 계기를 찾지 못하면 남은 임기 후반부 국정동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윤 대통령과 한 대표는 국정의 거대한 수레를 앞에서 끌고 뒤에서 미는 동반자 관계다. 두 사람의 지지율이 동시에 떨어지는 현상이 공동 운명체임을 방증하고 있다. 그간 윤 대통령은 "늘 국민은 옳다"고 말하고 한 대표 또한 "국민 눈높이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 지금이 바로 그런 생각을 실천에 옮길 때다. 갈등의 쳇바퀴를 멈춰 세우고 정국의 돌파구를 열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