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은 생산적이지 못해… 함께 공존할 필요성"

임종석 전 문재인 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장이 북한을 실체 그대로 받아들이며 신뢰를 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전 실장은 8일 서울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진행된 강연에서 "통일 논의는 현실적이지 않으며 평화 정책을 저해한다"고 지적하면서 "통일 대신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일에 대한 철학적 지향은 헌법에 남겨두되, 당분간 통일 논의는 봉인하고 현실적인 평화 구축에 집중하자는 입장을 내비쳤다.
임 전 실장은 최근 북한이 '통일 지우기'에 나선 것과 관련해 "이 변화의 기저에는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대외정책 우선순위로 두지 않겠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미국 대선 이후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더라도 북미 관계를 과거 방식으로 회복하기는 어렵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임 전 실장은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지난달 말 북한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규정한 발언에 대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고 대화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평가하면서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다"고 설명했다.
또한 임 전 실장은 '두 국가론'에 대한 파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임 전 실장은 지난달 19일 9·19 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해당 발언을 한 뒤 이에 대한 논란을 두고 "북한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날 때 우리 내부에서 제대로 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바로 찬반 이념 논쟁으로 번지는 현실이 아프다"고 말했다.
김민지 기자
10hyacinth@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