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내년 경주 APEC 정상회의 때 방한 가능성 높아"

대통령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은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선 당선인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취임 전 만나자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신 실장은 이날 연합뉴스TV에 출연, 지난 7일 윤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과의 통화와 관련해 "취임 전 얼른 만나자는 말씀을 트럼프 당선인이 먼저 3∼4차례 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그 뒤로 트럼프 당선인 측에서 인선 문제, 국내 문제, 취임 전 준비, 또 여러 나라가 사전에 만나길 원하는 점 등을 고려해 취임 전에는 외국 정상을 만나지 않겠다는 원칙을 세운 것으로 안다"며 "어쨌든 트럼프 당선인 측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 실장은 윤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 회동 시 대화 주제에 대해서는 "취임 전에 만나든 후에 만나든 한미동맹 전반적인 의제"라며 "안보, 경제, 첨단기술 협력, 역내 주요 현안 등 이런 것들을 포괄적으로 상호 긴밀하게 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임박 징후는 없지만 준비 막바지 단계"라며 "연말 이전 발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북한이 올해 세 차례 정찰위성을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데 대해서는 "서너 차례 발사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며 "5월 발사 이후 6개월이 지났는데 북한이 신형 발사체계를 갖추면서 지휘체계를 통합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러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6월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대한 답방 형식이 될 수 있고, 푸틴이 북한의 파병에 감사하기 위한 예우 차원일 수 있다"며 "여러 민감한 현안을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가능성에 대해 신실장은 "내년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계기로 방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면서 "2026년 의장국이 중국이기 때문에 그런 가능성을 더 높인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