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위, 고향마을인 흥해읍 덕성리

▲ 이상득국회부의장 공적비 건립추진위원회가 지난 29일 포항 흥해읍 덕성리에서 고 이상득 국회부의장의 공적비 제막식을 진행하고 있다.

   

고 이상득 국회부의장의 공적비가 그의 고향마을인 포항 흥해읍 덕성리에 건립돼 지난 29일 제막식을 가졌다.

이날 제막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재·이상휘국회의원,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 故 이상득 국회부의장의 가족, 고 이상득 국회부의장과 가까웠던 당직자와 시장 군수 도·시·군의원, 경주이씨 국당공파 삼효공 문중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故 이상득 국회의원(李相得, 慶州李氏)은 1935년 11월 29일 생으로 지난 10월 23일 향년 89세로 타개했다. 그는 포항에서 초·중·고를 나왔고, 육군사관학교 중퇴 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켐벨대학교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주)코오롱과 코오롱상사(주)대표이사를 역임했으며, 국민훈장동백장 산업훈장, 동탑훈장을 수상했다.

1988년 실시된 제13대(영일군) 국회의원 당선에 이어 18대까지 포항 남울릉 지역구에서 내리 여섯번 당선됐다. 국회부의장, 운영위원장, 재정경제위원장, 한일의원연맹회장, 한나라당 최고위원, 원내총무, 사무총장, 정책위의장 등 주요당직을 두루 거치면서 국가와 지역 발전에 초석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상득국회부의장 공적비 건립추진위원회(위원장 공원식)'가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그는 포항을 세계적 첨단산업도시로, 환동해 물류관광중심도시로 성장동력을 다변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세워 해박한 지식과 경영으로 값진 성과를 거뒀다.

추진위가 밝힌 주요 성과는 철강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포항테크노파크,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지능로봇연구소 등을 구축했으며, 특히 제3세대에 이어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유치는 포스텍과 함께 포항의 R&D인프라를 세계적 수준으로 격상, 이차전지·바이오·수소산업으로 나아갈수 있는 터전을 마련했다.

영일만 산업단지에 이어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해 부족한 공장용지 공급은 물론 포항이 이차전지 선도도시로 선정되는 데에도 기여했다.

포항-대구간, 포항-울산간, 포항-영덕간 고속도로, 포항-건천간 산업도로, 포항-울산간 광역철도 복선화, 포항-삼척간 동해중부선철도 건설은 낙후된 동해안의 교통 인프라를 한층 높였으며, 특히 포항-서울간 KTX 직결노선은 수도권과 일일생활이 가능하게 했다.

국도대체 우회도로, 영일만 진입철도, 북방파제, 국제컨테이너 부두, 역무선 부두의 건설은 영일만항이 환동해 물류의 허브가 될 수 있게 했다.

낙후된 울릉도 발전을 위해 섬 일주도로 개설과 공항건설의 기반을 다졌으며, 독도박물관 독도전망대 케이블카도 설치했다.

송도백사장 복원, 형산강 정비사업, 포항운하, 포항야구장, 남부보건소 건립 등은 시민의 건강한 삶에 기여했다.

임하댐 도수로 사업은 부족한 식수의 확보는 물론 공업용수 고갈로 허덕이던 산업현장에 용수가 됐다.

공원식 공적비 건립추진준비위원장은 "故 이상득 부의장님께서 국가와 포항발전을 위하여 남긴 공적을 후세에 기리고 이곳이 더 나은 미래를 모색하는 산 교육장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