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관련 대국민 담화 직후 '편가르기'에 대한 우려의 뜻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이재명 대표가 서울 중구 천주교 서울대교구청에서 정순택 대주교 예방 일정을 소화한 후 기자들을 만나 "우리 사회를 통합보다는 편을 가르고 극단적으로 갈 수 있는, (그렇게) 부추기는 점에 대해 우려의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이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들께서 많이 놀라셨을 것 같은데 최선을 다해서 신속하게 수습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이 대표는 이날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를 앞두고 열린 최고위원회 발언에서 "윤석열 대통령께서도 너무 많은 시간을 보내지 말고 이제 다 내려놓으시기 바란다"고 퇴진을 촉구했다.
이날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직후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불법계엄 발동의 자백"이라는 등 거센 비판이 연이어 쏟아졌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의원총회에서 이날 담화를 통해 "윤 대통령이 극우 유튜브에 심각하게 중독돼 있으며, 정상적으로 직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고, 탄핵을 지연시키는 것은 망국의 길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밝혔다.
김민석 12·3 윤석열 내란사태 특별대책위원장도 이날 오전 윤 대통령의 담화 관련 입장 발표를 통해 "이 시간 현재 윤석열의 정신적 실체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헌정수호를 위해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고 실패할 계엄을 기획했다는 발언은 극단적 망상의 표출이고, 불법 계엄 발동의 자백"이라고 평가했다.
조국혁신당과 정의당도 각각 윤 대통령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조국혁신당은 김보협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헛소리 말고 수사에 응하라". 망상장애와 편집증이 심한 이"라며 "국민에게서 위임받은 권력으로 국민에게 총부리를 들이댄 자는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혹평했다.
정의당은 '쌍욕을 참기가 어렵다'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2차 계엄선포가 아닌 것이 다행일 정도"라며 "내란수괴 전두환의 쿠데타가 있었던 12월12일에 또다시 이런 담화를 하는 것은 폭력적이고 시민으로서 참기 어려운 일"이라고 밝혔다.
우원식 국회의장 역시 이날 대국민담화에서 나온 윤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국회에 경고하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는 것은 민주주의 헌정질서에서 절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참담하다. 어떤 경우에도 민주주의 헌정질서는 정치의 수단이 아니며 역사적·사회적·국민적 합의다"라며 "즉시 여야 대표회담을 할 것을 제안한다. 국가적 불안정성을 최대한 빨리 정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우 의장은 "이날 대통령 담화가 또 다른 오판이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며 "국회는 발생 가능한 모든 상황에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