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보위 보고…"사망 300여 명·부상 2,700여 명"
우크라에 생포된 북한군 1명 "우크라에 남고 싶다"

국가정보원은 13일 우크라이나전에 파병돼 러시아를 지원하는 북한군 병사들의 사상자가 3000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 같이 보고했다고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다.
국정원은 간담회에서 “러시아 파병 북한군의 교전 참여 지역이 쿠르스크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북한군 피해 규모가 사망 300여명, 부상 2700여명으로 사상자 수가 3000여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이어 “최근 북한군 전투 영상을 분석한 결과 원거리 드론에 대한 무의미한 조준 사격과 후방 화력 지원 없는 돌격 전술 등 현대전에 대한 이해 부족, 러시아 측의 북한군 활용 방식이 결과적으로 대규모 사상자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고 했다.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오전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오전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북한의 대외 공작을 총괄하는 정찰총국의 러시아 파병 사실도 우크라이나에 체포된 북한군 2명의 진술 내용을 통해 처음 확인됐다. , 이들은 “정찰총국 소속 전투원 2500여명과 동반 파병됐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국정원은 “전사자 소지 메모에서 북한 당국이 생포 이전에 자폭 자결을 강조하는 내용과 함께 병사들이 노동당 입당 및 사면을 기대하고 있는 내용도 발견됐다”면서 “최근 북한군 병사 1명이 우크라이나 군에 붙잡힐 위기에 처하자 ‘김정은 장군’을 외치며 수류탄을 꺼내서 자폭을 시도하다 사살된 사례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한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에 전날 생포한 북한군 20세 소총수와 26세 저격수 정찰 장교를 신문하는 영상을 올렸다. 신문은 한국어를 하는 남성의 통역을 통해 진행됐다.

영상 속에서 손에 붕대를 감은 채 누워 있는 20세 북한군 소총수는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냐는 질문에 “우크라이나 사람들 다 좋냐”고 되묻고는 “여기서 살고 싶다”고 밝혔다. 턱에 부상을 입어 붕대를 감은 26세 장교는 입을 열지 못해 고갯짓으로만 답했는데 “조선(북한)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냐”는 질문에 고개를  끄덕이며 가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같은 날 엑스(X)에 한글로 “김정은이 러시아에 억류된 우크라이나 전쟁 포로와 북한 군인의 교환을 추진할 수 있을 경우에만 북한 군인을 김정은에게 넘겨줄 준비가 돼 있다”며 포로 교환을 제안했다.  

키워드

#북한군 #생포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