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캐나다·멕시코 관세는 한달간 유예

G2 국가인 미국과 중국간 무역전쟁의 포성이 울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예고한 10% 추가 관세 행정명령을 유예없이 4일 0시(미국 동부시간 기준)에 공식 발효했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임기가 시작한지 보름만이다.
이에 중국은 즉각 보복관세로 맞불을 놨다.

지금까지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20%의 관세율이 적용됐지만 이날 추가 관세 부과로 이제부터는 '모든' 중국산 제품들에 평균 3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더욱이 800달러(약 116만원) 미만 소액 상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 주는 '최소 기준 면제' 조항도 없앴다.

이날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로 중국의 전략산업 분야 중 전기차의 관세율은 100%에서 110%로, 전기차 리튬배터리와 배터리 부품 관세율은 25%에서 35%로,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 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인상됐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AP 연합뉴스

이에 맞서 중국은 이날  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관세를 각각 추가로 부과하고 텅스텐·텔루륨 등 25개 금속물질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미국 IT 기업인 구글에 대해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를 개시했으며 미국의 추가 관세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미국의 일방적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으로, (미국의) 자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중미 간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을 훼손한다"며 보복관세 부과 배경을 설명했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를 둘러싸고 정면 충돌하고 있지만 미국이 발효한 '추가 10%'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공언해온 60% 관세율에 크게 못 미쳐 상징적 조치로 보인다. 중국 역시 국내 경제가 이미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제2의 무역 전쟁은 피하려하기 때문에 협상의 여지가 충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면 관세'는 시행 하루 전인 3일 한 달간 전격적으로 유예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