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포항공장 희망퇴직 실시

현대제철 포항공장 전경. 현대제철 제공
현대제철 포항공장 전경. 현대제철 제공

 

中 저가품 공습 인한 불황 이어
美 관세 폭탄까지 경영난 가중
2022년 이후 3년 만에 재실시
당진·인천 등 전환배치도 추진

철강업계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고 있다.

현대제철은 오는 14일까지 포항공장 기술직 직원 1200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고 4일 빍혔다.

현대제철이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것은 2022년 2월 이후 약 3년 만이다. 철강업계의 어려운 경영 환경을 반영한 인력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희망퇴직 신청자에게는 1년 월정급여에 정년까지의 잔여 근속기간 50%를 곱한 범위(최대 3년) 내에서 퇴직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또한 1인당 1000만 원의 자녀 학자금과 함께 만 55세 이상 직원들에게는 별도의 정년 처우금도 제공한다.

당진과 인천 공장으로의 전환배치도 진행한다. 전환배치를 신청한 직원들에게는 이사비 300만 원과 주택자금 한도 1억 원까지 지원하며, 현재 직책에 있을 경우 직책은 해임된다.

철강업계는 △중국산 철강재의 저가 공습 △경기 침체에 따른 철강 수요 감소 △미국의 관세 인상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은 사업장 규모 축소와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철강업계 전반에서 유사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희망퇴직과 전환배치는 현대제철 자회사의 IMC와 ITC에서도 진행 중인 인력 조정과 맞물려 있다.

특히 미국의 철강 관세 부과와 중국산 철강재 유입 등의 외부 요인이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희망퇴직과 전환배치 등의 조치가 확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앞서 현대제철은 가동률이 떨어진 포항 2공장을 지난해 말부터 축소 운영해왔다. 당초 포항 2공장을 완전히 가동 중단하기로 결정했지만 노조의 반발과 노사 협의 끝에 축소 운영으로 선회한 바 있다.

포항공장 희망퇴직 신청과 별개로 노사 분규가 이어지면서 노사 갈등도 좀저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지난달 24일부터 당진제철소 내 냉연공장에 대해 부분 직장폐쇄를 실시하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포항 공장 전체가 비상 상황"이라며 "2공장도 비가동 1공장도 수시로 비가동 중이다. 많이 어렵다. 전환배치 희망자에 의해서 접수 받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