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5일 서울 곳곳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가 열리고 있다.왼쪽은 서울 종로구 경복궁 동십자각에서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이 연 15차 범시민 대행진, 오른쪽은 서울 세종대로에서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가 연 광화문 국민대회. 연합뉴스
25일 전농 '서울 재진격' 예고에 尹지지자 '맞불' 조짐
양측 물리적 충돌 우려…경찰, 대응책 마련 고심 중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이르면 이번주 후반 선고될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찬핵 찬반 진영 간 충돌 우려가 나오고 있어 경찰이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는 25일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트랙터 상경 집회'를 다시 예고했다. 이에 맞서 윤 대통령 지지자들도 맞대응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집회가 격앙될 경우 충돌 우려가 있다.

평일 교통 대란과 시민들 안전 문제는 물론, 자칫 양측이 물리적으로 충돌할 경우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사회적 혼란이 예상된다. 경찰은 주최 측에 집회 자제를 설득하고 따르지 않을 경우 집회 금지 통고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23일 전농 산하 '전봉준 투쟁단'은 25일 트랙터 20대와 1t 트럭 50대를 동원해 상경 집회를 벌이겠다고 전날 경찰에 신고했다.

전봉준 투쟁단이 공지한 '서울재진격 지침'을 보면 이들은 서초구 남태령에 모여 오후 2시 '윤대통령 즉각 파면 결의대회'를 연 뒤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광화문 방면으로 트랙터 행진을 한다. 오후 7시부터는 범시민대행진에도 참가한다.

경찰은 전봉준 투쟁단이 탄핵 선고 기일이 발표될 때까지 광화문이나 헌재 인근에서 철야 농성을 할 가능성에도 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봉준투쟁단은 지난해 12월 21일에도 윤 대통령 체포를 촉구하며 트랙터 30여대와 트럭 50여대를 이끌고 상경 집회를 벌였다. 남태령고개 인근에서 경찰 차벽에 막혀 28시간 동안 대치했지만 결국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까지 행진한 바 있다.

당시 전농 지도부와 참가자들은 일반교통방해 등의 혐의로 입건돼 수사를 받는 상황이다. 하지만 전농은 이 집회를 농민과 시민의 연대로 경찰의 저지망을 뚫은 '남태령 대첩'이라 부르며 이번 주 2차 상경을 예고한 것이다.

하지만 1차 상경 때와 달리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세가 불어나고 집회도 과격양상을 띠고 있어 양측이 물리적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일부 지지자들은 디시인사이드 '미국 정치 갤러리' 등을 통해 전농의 상경 집회를 저지하자는 글을 올리고 있다.

게시글엔 "트랙터 엔진에 설탕을 넣겠다"는 대응 예고부터 "애국 덤프트럭 기사님 지원 안 되나"라는 물리적 저지를 촉구하는 댓글이 올라오고 있다. 또 "(전농) 트랙터가 200% 간첩 집단"이라는 글은 200여명의 추천을 받기도 했다.

아직 이들의 움직임이 수면 위로 드러난 상황은 아니지만 서부지법 사태 때처럼 실제 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경찰은 남태령∼광화문 행진 도중 이 같은 일이 벌어질 경우 자칫 대형 사고로 직결될 수 있다고 보고 대응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경찰청은 이번 상경 집회가 집회 참가자들은 물론 일반 시민의 안전에도 직결될 수 있다고 보고 전농 측에 '자제'를 요청했다. 또 전농이 거부할 경우 집회를 금지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미 전국 기동대 70∼80%를 헌재 등지에 배치하기로 한 상황에서 또 다른 사회적 긴장 전선의 형성을 막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하지만 전농 측은 물러설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강 위원장은 "헌재가 주권자에게 빠르게 응답해야 한다는 입장을 평화적으로 전달하려 하는 것"이라며 "폭력 유발 의도 자체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찰이 금지 통고를 한다면 법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