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 진로 의견조사... E-9 비자 등 취업경로 확대 검토 필요

중소기업중앙회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8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86.5%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 하고 있으며, 특히 전문학사 과정 유학생의 90.8%가 높은 취업 의지를 보였다. 권역별로는 비수도권(87.2%)이 수도권(85.3%)보다 소폭 높았다.

한국에서 취업하고 싶은 이유로는 △한국에 계속 살기 위해서(35.2%) △본국 대비 높은 연봉 수준(27.7%) △관심있는 분야에서 일하고 싶어서(25.6%) 등으로 나타났으며, 취업 희망자 중 63.6%는 3년 이상(3~5년 26.1% + 5~10년 15.5% + 10년 이상 22%) 근무하길 원했다.

(E-7 취득 난관)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졸업 후 고용계약에 따라 취업 활동을 하려면 특정활동(E-7) 비자를 부여받아야 하나, E-7 비자 취득이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66.7%(매우 어려움 22.2% + 어려움 44.5%)에 달했다. 그 중 전문학사 유학생은 7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주요 이유로 △E-7 비자로 채용하는 기업이 적어서(40%), △E-7 비자의 직종이 제한적이어서(21.4%), △E-7 비자를 제공하는 기업의 정보가 부족해서(19.6%) 등을 꼽았다.

(한국 체류 계획) E-7 비자 취득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응답자의 64.3%(채용 시까지 한국에서 취업 준비 31.2% + 한국 대학원 진학 22.5% + 한국에서 창업 10.6%)는 취업을 못해도 한국에 체류하겠다고 답변했으며, 전문학사(78.6%), 비수도권(68.7%), 학사 이상(61.5%), 수도권(57.5%) 순으로 높았다.

(E-9 취득 희망) 현 제도상 비전문 취업(E-9) 비자는 유학(D-2), 구직(D-10) 비자에서 전환 허용이 불가하나 허용될 경우 취득의사가 있는지 문의한 결과, 전체 유학생의 58.8%는 E-9 비자를 취득하여 중소기업 생산직 등 현장에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특히, 전문학사 유학생은 67.2%가 E-9 비자 취득을 희망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E-9 비자 취득 의사가 없는 응답자는 그 이유로 △배운 지식을 활용 못할 것 같아서(43.5%), △급여가 낮아서(20.7%), △열악한 업무 환경 때문에(복지, 노동강도 등)(15.8%) 등을 들었다.

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취업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E-7 비자 취득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질적인 취업 기회는 제한적"이라며 "이는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어 능력을 갖춘 유학생*을 중소기업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경우 의사소통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산업재해 예방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비전문취업(E-9) 비자 전환 허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외국인 유학생의 비전문 분야 취업(E-9)을 허용하는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위상 등 11인)'은 2024년 11월 발의돼 계류 중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