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명계, 민주 경선룰 확정에 강력 반발…"무늬만 경선"
더불어민주당의 대선 후보경선이 이재명 전 대표,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두관 전 의원의 4파전으로 치러질 전망이다.
이 전 대표는 지난 8일 대선 날짜(6월 3일)가 확정되자 이튿날 당 대표직에서 사퇴했고, 하루 뒤에는 미리 준비한 영상 메시지를 통해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앞서 김두관 전 의원은 지난 7일 가장 먼저 출마를 선언했고, 김동연 지사는 9일 미국으로 떠나며 인천공항에서 출마를 선언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이날 세종시청에서 대권 도전을 선언했다.
민주당의 대선 경선이 4파전 형식을 취하기 했지만 '이재명 대 비명계 3김(金)'의 구도로 치러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미 이 전 대표의 대세론이 강하게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역선택 우려로 경선방식을 기존의 선거인단 모집 방식이 아니라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하기로 한 점도 이 예비후보의 대세론에 한층 힘을 싣는 요인이 되고 있다.
앞서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지난 12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으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걸쳐 순회 경선을 치르기로 했다. 아직 순회경선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다.
이번 권리당원 투표에는 16∼18세 당원도 최초로 동참한다. 이들 청소년 당원을 포함해 경선일로부터 12개월 이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110만여명이 권리당원 투표 참여 대상이다.
이는 2022년 1월 정당법 개정으로 정당 가입 연령 하한이 18세에서 16세로 낮아진 점을 반영한 조처로 분석된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한다.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방식으로 지난 대선 경선에 적용한 선거인단 투표가 아닌 일반 여론조사를 채택한 것은 선거인단 모집의 경우 특정 종교 등 외부 세력이 개입해 조직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당내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짧은 기간 치르는 조기 대선인 만큼 선거인단을 모집하는 데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도 고려됐다.
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병행하는 경선 룰을 확정한 데 대해 비명계 주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 고영인 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김동연 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두관 전 의원 측 백왕순 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 룰에 대해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지금의 민주당 모습은 너무 위험하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