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품 관세 머지않아 시행될 것"
관세 정책 일관성 부재에 비판 고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율을 다음 주에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적용 제외 발표 이틀 만에 이를 뒤집은 것이다. 

AFP,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우리는 미국에서 반도체, 쳅 등을 제조하고 싶다"며 반도체에 대한 관세가 "머지않은 미래에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반도체 관세율이 얼마나 될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다음 주 중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반도체 관세에 있어서 "일부 기업들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확실하진 않다"고 말했다. 

아이폰에 부과하는 관세 역시 "곧 발표될 것"이라면서 "일부 유연성은 있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에 대해서는 "US스틸이 일본으로 가는 것은 보고 싶지 않다"며 반대 입장을 거듭 밝혔다.

아울러 최근 미국과 10년 만에 고위급 핵 협상을 재개한 이란과 관련해서는 "곧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또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전자제품이 관세에서 예외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반적인 전자제품 공급망을 들여다볼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11일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이 상호 관세에서 제외된다고 명시했으며 세관국경보호국(CBP) 역시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에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기조에서 벗어나 유화책을 시도한다고 분석했다. 

애플을 비롯한 빅테크 기업들이 관세 품목 제외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고 삼성전자 또한 대표적인 수혜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을 넘어 전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주는 관세 조치가 불과 이틀 만에 뒤집어 지는 등 일관성을 보이지 못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도 고조되고 있다. 

CNBC는 "트럼프 대통령과 무역 관련 고위 관료들은 행정부의 관세 계획에 대한 혼란을 가중했다"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계속해서 바뀌어 온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미 경제정책연구센터(CEPR)의 딘 베이커는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관세 정책은 산업 전략이 아닌 정치적 쇼에 가깝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결국 앞선 상호관세 면제 발표는 실제로는 '정책 전환'이 아닌 '전략적 전환이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