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상임공동대표 김명동, 집행위원장 : 박충일)는 22일 '산불 대피 중 요양병원 사망사고 포항시는 대책을 마련하라'는 기자회견문을 발표했다.

기자회견문에서는 "지난 3월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해 경북북부로 확산된 초대형 산불은 경북의 푸르렀던 산야도 태웠고, 포항에서 평범하게 살아왔던 한 가족의 마음도 검게 태워버렸다"고 밝혔다.

사망자 김 모씨는 70대로 2024년 6월초 포항S병원 신경과 MRI 검사결과 뇌종양 의심 진단 소견을 받았고, 서울신촌세브란스병원 재검사후 뇌종양(교모세포종) 판단을 받고 2차 방사선 항암치료를 한 후, 2025년 2월경 포항시 북구 송라면에 위치한 송라요양병원에서 입원 요양을 하게 됐다.

4남매가 송라면까지 오가며 병간호에 애썼지만 지난 3월 26일 영덕군까지 내려온 산불에 영덕군과 포항시 경계면에 위치한 송라요양병원의 위치 때문에 가족들은 걱정이 되기 시작했고, 병원에 전화를 걸어 이송계획에 대해 확인했지만 병원측은 "아직 그런 계획이 없다. 만약 행정조치가 내려지게 된다면 보호자에게 알려주겠다"며 안심시켰다.

하지만 유가족은 이송 전 연락을 받지 못했으며, 하루가 지난 3월 27일 이송 후 연락을 받게 됐는데 이는 보호자를 위한 정상적 연락이 아닌 위독 하시다는 연락이었다는 것. 가족들이 놀라 바로 병원을 찾아갔지만 김 모씨는 이송된 당일 사망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송라요양병원에서는 포항시가 행정명령을 내려 이송할 수 밖에 없었으며 자신들 또한 환자가 돌아오지 않아 피해자며 책임이 없다고 했다.

포항시는 또한 환자이송은 시청이 아닌 보건소의 관할이며 포항시 또한 경상북도에서 대피명령을 발령해 지시를 따랐다고 했다.

포항시보건소는 이송에 관해 매뉴얼대로 했으니 행정소송을 통해 대응하라고 답했다는 것이다.

이에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는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포항시에 여러차례 경고를 해왔다"면서 "포항시도 이번 사고를 계기로 재난을 일원화해 재난약자와 관련된 규정과 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가족에 대한 대책 또한 마련해야 한다"면서 "행정명령을 내렸던 당사자인 포항시가 원인규명을 하고, 동일한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개선해야 하며, 피해를 입은 당사자를 회복 시켜주어야 할 무한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는 포항시에 ▲산불대피 요양병원 사망사고 원인 및 책임소재 규명 ▲재난발생 시 사회적약자 맞춤형 긴급피난 매뉴얼 마련 ▲산불대피 사망사고 유가족에 대해 대책을 마련을 각각 요구하며 23일 오전 포항시청 광장에서 집회를 예고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