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 사태로 유통업계가 비상이 걸린 가운데 포항시 북구 죽도동에 위치한 홈플러스 죽도점 앞 신호등에 빨간불이 들어와 있다. 이부용기자
‘홈플러스 단기채권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28일 홈플러스 본사를 전격 압수수색하며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금융당국이 패스트트랙(긴급 조치)으로 사건을 이첩한 지 일주일 만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검사 이승학)는 이날 오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홈플러스 본사와 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 본사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다.

김병주 MBK 회장과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대표 등의 주거지도 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홈플러스와 MBK 경영진이 신용등급 하락과 기업회생 신청 계획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이를 숨긴 채 단기채권을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전가한 정황이 있다고 보고 있다.

신용평가사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2월 28일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강등했다. 이후 나흘 만인 3월 4일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검찰은 홈플러스가 이미 2월 25일 신용등급 하락에 대한 1차 통보를 받고도 이를 공개하지 않고 채권을 발행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홈플러스가 발행한 기업어음(CP), 단기사채, 카드대금채권을 기초로 한 유동화증권(ABSTB) 등의 판매 규모는 지난달 3일 기준 총 5,899억 원에 달한다. 이 중 개인과 일반법인에 판매된 금액은 각각 1,970억 원, 3,119억 원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4일 기자간담회에서 “홈플러스와 MBK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인지했으며 기업회생 신청도 오랜 기간 준비한 정황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사안과 관련해,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MBK 김병주 회장 등을 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앞서 이달 1일에는 신영증권 등 4개 증권사가 홈플러스 및 경영진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등 혐의로 고소한 바 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신영증권 등 홈플러스 채권을 발행·판매한 증권사들이 투자자들에게 위험성을 충분히 고지하지 않은 ‘불완전판매’ 가능성도 수사 중이다. 신영증권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직전에 ABSTB를 발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한 뒤, 검찰은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조주연 대표 등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