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재학생 1만 9475명 중 8305명(43%)이 유급 판정을 받았고, 46명은 제적이 확정됐다.
복귀율이 저조했던 예과 1학년은 1626명이 유급되며, 내년 의대 1학년 과정에는 24·25·26학번이 겹쳐 수업을 받는 ‘트리플링(tripling)’ 사태가 불가피해졌다.
교육부는 지난 7일 의과대학들로부터 유급 및 제적 현황 자료를 제출받아 집계한 결과, 전체 재학생의 65.6%인 1만 2767명이 수업에 복귀하지 않았다. 이 중 일부는 ‘곰수’(한 과목 수강) 형태로 유급과 제적을 회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급은 상위 학년으로 진급하지 못하는 조치, 제적은 학적에서 말소되어 재입학이 불가능한 상황을 의미한다.
예과 1학년의 상황은 특히 심각하다.
교육부에 따르면 25학번 1241명, 24학번 이상 385명 등 총 1626명이 유급됐으며, 성적 경고 예상자와 곰수 등록자를 포함할 경우 내년 1학년 인원은 최대 6926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의대별로 복귀율 편차도 큰 상황이다.
대구 소재 계명대학교는 의대 재학생 493명 중 299명(60.6%)이 유급 판정을 받았다.
수업 공간은 확보돼 있지만, 교원 인력 부족이 교육 차질로 이어질 우려가 제기된다. 계명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은 아직 편입학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수업 복귀 학생에 대한 정상 교육 지원과 함께, 제적 등으로 인한 결원은 편입학 등을 통해 보완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학번 중복과 강의실, 실습 환경 부족 등으로 인해 교육 현장의 부담은 가중될 전망이다.
실제 일부 의대는 학칙을 개정해 신입생(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부여하기로 결정하면서, 선배 학번보다 먼저 진급하고 실습 및 국가시험에 응시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의대 학장단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이제는 복귀한 학생들의 교육에 전념할 때”라며 “늦었지만 돌아온 재학생들이 흔들림 없이 학업에 임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교육부의 유급·제적 조치에 반발해 오석환 교육부 차관과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다.
의대협은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조치가 ‘직권남용’ 및 ‘강요’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도 제적 사태에 대응해 집회와 파업 등을 포함한 강경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