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자리에 앉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해 자리에 앉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계파 불용’ 조항을 담은 당헌 개정을 추진하면서 당내 갈등이 재점화되고 있다.

특히 한동훈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한 이른바 ‘친한계’ 의원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당권을 둘러싼 내홍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당 지도부는 지난 5월 27일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대통령을 포함해 특정인이 중심이 되거나 특정 세력이 주축이 돼 당내 민주주의와 자율성 및 자율 경쟁을 훼손하는 행위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은 ‘계파 불용’ 조항 신설안을 의결했다.

해당 개정안은 28일 상임전국위원회를 통과했으며, 오는 31일 전국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지도부는 이번 개정이 공천과 인사 등 주요 당무에서 대통령의 개입을 차단하는 ‘당·대통령 분리’ 조항과 함께, 정당 민주주의를 제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친한계에서는 이번 개정안이 대선 이후를 겨냥한 사전 견제 성격을 띠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으로 친윤계의 실체가 모호해진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조직 기반을 갖춘 친한계를 ‘계파’로 규정하고 이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담겼다는 해석이다.

앞서 선거대책위원장 인선을 둘러싸고도 갈등이 있었다.

27일, 친윤계 윤상현 의원이 공동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하자 기존에 선대위원장을 맡고 있던 조경태 의원이 이에 반발하며 선거운동 중단을 선언했다.

그러나 그는 같은 날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대의를 위해 다시 힘을 보태겠다”며 선거운동을 재개했다.

28일에는 권성동 원내대표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한동훈 전 대표와 홍준표 전 대구시장에게 김문수 후보 지지를 당부했다.

그는 “김문수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손을 맞잡아 달라”며 “국가 정상화를 위해 모두 하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계파 불용 조항을 둘러싼 논란은 선거운동 국면에서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