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 계약서엔 '양덕동'·공원명은 '환호동·지번은 3개동

▲ 힐스테이트 환호공원 입주예정자들이 지난 5일 포항시청 광장에서 행정동 통합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 환호공원 힐스테이트 아파트 조감도. 오는 10월 입주가 예정돼 있다.

- 포항시, 경계 획정 원칙 제시 않고 책임 떠넘기기 태도 보여

포항시의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환호공원 일원에 건설중인 '힐스테이트 환호공원' 아파트단지의 행정동(주소)을 놓고 행정동 통합을 요구하는 입주예정자들의 집회가 확산하고 있다.

시행사인 ㈜아키션이 분양할 당시는 '양덕동'이었다는 입주자들의 주장과 균형발전을 주장하는 환호동 주민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등 주소 논란이 격화하고 있는 것.

따라서 포항시가 합리적이고 단호한 태도로 경계 획정과 주소 확정을 신속하게 마무리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국공유지인 공원용지를 민간사업자가 공원으로 조성해 기부하고 일정 부분을 아파트단지 등으로 개발할 권한을 얻는 제도다.

그런데 환호공원 사업의 경우 아파트 입주가 10월 께로 다가오면서 포항시는 시행사가 경계 신청을 먼저 해야 한다고 뒷짐을 지고 있는 반면, ㈜아키션은 행정동 획정에 시행사가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힐스테이트 환호공원 입주예정자들은 지난 5일 포항시청 광장에서 '힐스테이트 환호공원' 아파트단지를 애초 계약서대로 양덕동으로 편입하라고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입주예정자들은 "계약 당시 계약서와 입주자모집공고문 등에 '양덕동' 소재 2994세대 대단지 아파트라고 광고했다"며 “아키션은 사기 분양과 계약 위반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포항시는 계약을 무시한 행정조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해당 아파트 모델하우스 앞에서 추가 집회와 더불어 법적 검토까지 예고한 상황이다.

문제는 힐스테이트 환호공원 아파트단지의 행정구역이 여러 동에 걸쳐 있다는 점이다. 1블록 1590가구는 환호동에 약 80%, 양덕동 약 20%에 걸쳐 있다. 2블록 1404가구는 양덕동 70%, 장성동 30%에 걸쳐 있다.

먼저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은 계약서에 따라 환호동보다는 장성동과 양덕동의 행정동인 장량동으로 정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들은 "환호동보다 장량동의 상업 및 주거 수요가 높아 부동산 가치가 더 높다"며 "우리는 아키션과 ‘양덕동’ 힐스테이트 환호공원을 계약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환호동 주민들의 생각은 달랐다. 주민들은 사업명 자체가 '환호공원 특례사업'인 만큼 환호동에 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또 2023년 포항시가 행정구역 조정 연구 용역을 했을 때 큰 도로를 사이에 두고 힐스테이트 아파트가 양덕동과 떨어진 만큼 단지 전체를 환호동(환여동)으로 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특히 장량동은 인구가 6만8000여명이고 환여동은 인구가 8700여명에 불과해 지역간 불균형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환여동 편입이 맞다는 주장이다.

환여동 발전협의회는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옴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와 각종 개발에 대한 기대가 큰 만큼 당연히 환여동으로 포함돼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포항시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한 채 눈치보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현재는 행정구역과 관련해 결정된 것이 아무것도 없다"라며 "조만간 주민설명회를 열어 의견을 청취한 뒤에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논란을 키웠다.

이 사업이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수년간 진행돼 왔는데, 포항시가 애초 행정구역 부분을 정확하게 하지 않고 지금에 와서 계약과 다른 행정구역 편입을 염두에 두는 것이 논란의 단초가 됐다는 것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시행사가 경계신청을 원래 해야 한다. 시가 시행사를 설득해 주민설명회를 했으며, 현재 환여동과 장량동으로 가르는 경계신청이 들어왔고, 5~6월에 추가 절차 진행 등에 대한 설명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혀 시행사에 경계 획정 논란 자체를 떠넘기려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아키션은 "시행사는 행정구역 편입에 대해서 어떻게 할 수 없다"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