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저 수조 시설 놓고 ‘사적 용도’ 의혹 증폭
인허가·예산 사용 적법성 놓고도 공방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머물던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야외 수조 시설을 두고 ‘개 수영장’ 의혹이 제기되면서 정치권 논란이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시설이 반려견을 위한 사적 용도라고 주장하며 국고 횡령 가능성까지 거론했고, 윤석열 정부 측은 사실무근이라며 강력히 반박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논란은 박홍근 민주당 의원이 8일 페이스북에 관저 야외 수영장 사진을 공개하며 불거졌다. 

박 의원은 “사람이 수영하기엔 얕았고, 관저 만찬에 참석했던 의원들끼리 ‘개 수영장 아니냐’고 추측했다”고 밝혔다. 

김병주 민주당 최고위원은 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수영장이 눈에 띄었다”며 “깊이가 50∼100㎝, 길이는 5∼6m로 ‘개 수영장’이라는 추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입주한 2023년 6월부터 관저의 물 사용량이 급증했다는 언론 보도를 거론하며 “강아지 수영장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민주당 서영교 의원도 MBC 라디오에서 “모양은 수영장인데 얕아서 다른 용도로는 쓰기 어려워 보였다”며 개 수영장 의혹을 거들었다. 

전현희 최고위원 역시 유튜브 방송에서 “사적인 목적이라면 국고 손실이고, 횡령 혐의가 성립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개 수영장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윤석열 정부 관계자는 “개 수영장이라는 주장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외빈 방문 때 야외 행사용으로 조경 목적으로 설치한 수경 시설”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길이 6m, 깊이 50㎝ 정도로, 외빈을 맞이할 때 식사나 차담 공간으로도 활용됐다”고 덧붙였다. 

또 “해당 시설에는 온수 공급 설비가 없고, 반려견이 사용한 적도 없다”며 의혹을 일축했다.

물 사용량 급증에 대해서도 “윤 전 대통령 재임 시절 관저의 일평균 수돗물 사용량은 25∼32t으로, 전임 정부 청와대 관저의 40∼50t보다 적었다”고 강조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50㎝ 이상 땅을 절토·성토하거나 콘크리트 마감 공사는 토지형질변경으로 인허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대통령실이 해당 시설을 불법으로 조성했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장경태 최고위원은 “어느 업체가 공사를 했는지, 예산은 어떻게 썼는지 추가 감사가 필요하다”며 감사원 감사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윤석열 정부 관계자는 “관저 경내는 지목상 대지로, 이 정도의 시설은 인허가 대상이 아니다”라며 불법성도 부인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