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낮 12시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여야 지도부를 초청해 오찬을 겸한 회동을 갖는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19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관련한 내용을 소상히 설명하고, 의제에 제한 없이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눌 계획"이라며 회동 일정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오찬에는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송언석 원내대표가 참석할 예정이다.

우 수석에 따르면, 17일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각 당에 이 대통령의 초청 의사를 전달했고, 여야 지도부가 이를 수락하면서 회동이 성사됐다.

이 대통령은 19일 오전 G7 회의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직후 국무회의 참석 전 강 실장에게 “여야 지도부와의 회동을 조속히 추진하라”고 지시했고, 이날 중으로 각 당과 최종 일정을 조율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참모들은 7월 초 회동을 건의했으나, 대통령께서 ‘뒤로 미룰 이유가 없다. G7 성과도 설명하고 시급한 문제들을 여야가 함께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일정을 앞당기도록 직접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번 오찬은 내각 인선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열리는 만큼, 여야정 협의체 등 제도적 논의까지 이어지진 않을 전망이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1차 회동은 격의 없는 대화를 위한 자리로, 협의체 구성 여부는 향후 내각이 완성된 뒤 판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은 교섭단체가 아닌 야당 지도부와도 별도 만남을 적절한 시점에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향후 정치권 전반과의 소통 확대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 회동은 취임 18일 만으로, 문재인·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보다 빠른 편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취임 후 약 2년 만에 첫 회동을 가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앞으로도 여야 지도부가 교체되더라도 가능한 자주 만나서 정국을 논의하고 국민과의 소통을 확대하는 기조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