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예결위원장 두고 입장차 평행선…국민의힘 "본회의 협조 어려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26일 상임위원장 재배분을 두고 다시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지만 입장차만 재확인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김병기 민주당·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오찬 회동을 갖고 문진석 민주당,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와 함께 1시간여 협상을 이어갔다.
하지만 법제사법위원장과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문진석 원내수석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6월 임시국회 내 추경 처리를 위해 27일 본회의를 반드시 열어야 한다”며 “본회의 개최에 협조해달라고 국민의힘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유상범 원내수석은 “야당은 의회 내 견제와 균형을 위해 법사위원장이나 예결위원장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지만 여당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본회의 개최에 협력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양당은 현재 예결위원장, 법사위원장, 기획재정위원장,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운영위원장 등 5개 상임위원장 재배분을 두고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이 중 기재위원장은 송언석 의원의 원내대표 선출로 공석이 된 자리다.
국민의힘은 제1야당인 자신들이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거에는 국회의장은 다수당이, 법사위원장은 제1야당이 맡는 것이 관례였던 데다, 이번 대선 결과로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된 만큼 여당이 협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1년 전 이미 ‘2년 임기’로 원 구성을 마쳤으며, 민생 법안 처리를 위해서라도 여당이 법사위를 계속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결국 협상이 결렬될 경우 27일 본회의를 열어 기재위원장을 제외한 4개 상임위원장 선임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문 원내수석은 “합의가 가장 좋지만 불가피하다면 예결위원장 선임부터라도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예결특위 위원 명단을 이미 제출한 상태며, 국민의힘은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유 원내수석은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본회의를 열 경우 원내지도부와 의원총회를 통해 대응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동에선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도 논의됐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국민의힘은 “핵심 자료가 제출되지 않았다”며 이재명 대통령에게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다만 여야는 오는 30일 종료되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특별위원회 활동 기한 연장에는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