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최저임금 6차 수정안 제시
노동계 1만1020원·경영계 1만150원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9차 전원회의. 근로자위원들이 최저임금 올릴 것을 요구하는 동안 사용자위원들은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9차 전원회의. 근로자위원들이 최저임금 올릴 것을 요구하는 동안 사용자위원들은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도 최저임금 수준을 놓고 막바지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는 노동계와 경영계가 각각 시간당 1만1020원과 1만150원의 6차 수정안을 제시했다.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9차 전원회의에서 노사 양측은 이날 회의 개시 직후 내놓은 5차안(노 1만1140원, 사 1만130원)보다 각각 120원 인하, 20원 인상된 금액을 내놨다. 

최저임금법상 고시 시한(8월 5일)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노사 간 간극은 870원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노동계는 물가 상승과 생계비 현실을 반영해 두 자릿수 인상을 고수하고 있다.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모두발언에서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인데 저임금 노동자들의 생계비는 이미 한계를 넘었다"며 "법에 명시된 최저임금 결정 기준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선 민주노총 부위원장도 "비혼 단신가구의 월 생계비가 264만원에 달하는데 실수령 200만원도 안 되는 최저임금은 현실과 괴리돼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사용자 측은 경기 둔화와 영세 사업장의 어려움을 들어 인상 최소화를 요구하고 있다. 

류기정 경총 전무는 "올해 성장률은 0.8%로 외환위기급 저성장"이라며 "최저임금은 고용 유지와 중소상공인 생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 이명로 본부장도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집단의 절박한 처지를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사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을 경우, 공익위원들이 ‘심의촉진구간’을 제시해 중재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다만 공익위원인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는 "국민통합 차원에서 노사 자율 합의로 결론을 내는 게 바람직하다"며 당장은 적극 개입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