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지방통계청 최근 보고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대구 2.1%, 경북 2.1%로 집계됐다고 한다. 산술적으로 한 달에 2.1%면 1년에 25.2%나 물가가 상승하게 된다.

한마디로 우리는 '살인 물가' 시대에 살고 있다. 과거야 어떻든 이재명 새 정부의 첫번째 정책 목표는 '물가 안정'이 돼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말 불법 계엄선포에 이은 대통령 탄핵심판의 혼돈한 정국에서 거침없이 뛰어 올랐다. 이제 비로소 정국이 정상화된 만큼 정부는 옷을 벗을 각오로 물가부터 잡기 바란다.

여든 야든, 보수든 진보든, 국민이 죽을 맛인데 정부가 가만히 있으면 안 된다. 과거처럼 남 핑계, 전 정권 핑계, 시장 핑계만 댄다면 국민들은 또다시 정권 교체의 깃발을 들 수밖에 없다.

이처럼 정부에게 고강도 물가 잡기 대책을 요구하는 한편 국민(소비자)들은 살인 물가 시대를 돌파하기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때마침 일부 유통업계에는 '서민의 한 끼'를 지키겠다며 초저가 경쟁에 나섰다고 하니 눈 여겨 볼 일이다.

지난 2일 오전 포항시 남구의 한 대형마트 식품매장에서는 '5개에 2280원'이라는 놀라운 가격표가 붙은 라면 진열대 앞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또 H마트에서는 'D치킨' 시리즈 누적 1500만 팩 돌파를 기념해 3일부터 6일까지 '3990 옛날통닭'을 1인 1마리 한정 판매한다.

L마트는 '통큰 세일'을 통해 치킨을 5000원에, E마트는 '페스타' 행사에서 카드 결제 시 3480원대 완제품 치킨을 내놓으며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름마저 이율배반적인 '노브랜드'가 브랜드인 라면은 월 50만 개 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H와 L마트는 각각 500원대 PB라면을 앞세워 가성비 경쟁에 나섰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식료품 가격이 평균 22.9% 상승한 것과 비교해 파격적인 할인이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이보다 작은 15.9%였다.

대형마트가 '초저가 경쟁'으로 소비자를 끌어모으는 사이, 전통시장과 동네 상점도 탈출구를 찾아 나서고 있다.

이들의 생존 전략은 '덤'과 '단골' 잡기다. 이것들이 이들의 생존을 위한 비상탈출구이자 물가 방어전의 한 방편이 되고 있다.

'물가 지표는 숫자지만, 장바구니는 현실이다'는 말이 있다. 살인 물가 시대에 라면과 치킨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 수단이다.

정부는 정부대로, 유통업체는 유통업체 대로, 소비자는 소비자 대로, 살인 물가를 억제하고 건전한 소비·유통구조를 이룩하는 데 지혜를 모을 때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