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일부터 최대 70% 관세 예고…“돈이 미국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
90일 유예 종료 앞두고 압박 수위 높여…“서한이 협상보다 쉽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10∼12개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로 예정돼 있으며, 책정된 관세율은 10∼20% 수준에서 최대 60∼70%까지 이를 수 있다고 예고했다.

블룸버그·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이오와주 방문을 마치고 워싱턴DC로 돌아오는 길에 취재진과 만나 "오늘(4일)부터 10개 또는 12개국에 서한을 보내기 시작하며, 이후 며칠 간 추가 발송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9일까지는 발송 작업이 완료될 것"이라며 관세율은 국가별로 10∼70% 수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어떤 나라에 어떤 수준의 관세가 부과될지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돈이 8월 1일부터 미국에 들어오기 시작할 것”이라며 관세 부과의 시행 시점을 명확히 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4월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EU)를 대상으로 책정한 상호관세 정책의 연장선에 있다.

해당 정책은 4월 9일 시행 예정이었지만 곧바로 90일 유예됐으며, 유예기간은 오는 8일 종료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아마 내일부터 하루에 10개국씩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서한에 ‘당신은 20%나 25%, 또는 30%의 관세를 내게 될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미 영국·베트남과는 합의가 타결됐고, 몇몇 다른 합의도 있다”면서 “그래서 (협상보다는) 관세를 알리는 서한을 보내는 편이 훨씬 간단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협상 시한으로 삼아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과 관련한 양자 협상을 진행해왔다.

일각에서는 유예 연장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각국에 조속한 협상 타결을 압박하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한편, 최근 상원을 통과한 감세법안이 하원에서도 처리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경제정책에 더 큰 추진력이 실릴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