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악화·친환경차 확산에 구조적 축소…정화 비용 탓에 방치 속출

▲ 6일 포항시 남구에 위치한 한 주유소. 이부용기자
대구·경북 지역 주유소들이 문을 닫지도 못한 채 사양산업의 그늘에 갇히고 있다.

수익성 악화로 줄폐업이 이어지지만, 1억원 안팎의 정화 비용 탓에 영업 중단조차 쉽지 않고, 철거하지 못한 주유소가 흉물처럼 방치되고 있다.

6일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수는 2019년 1만1499곳에서 올해 6월 기준 1만528곳으로 971곳(8.4%) 감소했다. 평균 2~3일에 한 곳꼴로 문을 닫고 있는 셈이다.

대구는 285곳에서 251곳으로 34곳 줄었고, 경북은 800곳에서 746곳으로 54곳 줄었다.

두 지역에서만 88곳이 줄며 감소세가 뚜렷하다.

지역별 감소율은 대구가 약 12%, 경북은 6.7%로, 전국 평균을 상회하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주유소 폐업의 가장 큰 이유는 수익성 급락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영업이익률은 1991년 17.8%에서 2023년 1.7%로 급감했다.

L당 가격을 낮춘 알뜰주유소 확산도 큰 요인이다.

한국석유관리원에 따르면, 알뜰주유소는 2019년 1182곳에서 올해 1290곳으로 오히려 늘었고, 시장 점유율도 20%를 넘겼다.

여기에 전기차·하이브리드차 증가로 중장기 연료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더해지며, 미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국내 등록 차량 중 친환경차 비율은 10.4%로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주유소 업계는 단순한 폐업도 쉽지 않다고 호소한다.

지하 탱크 제거, 토양정밀조사 등 정화 비용만 평균 1억원 안팎에 이르며, 건축 규제와 위험물 처리 절차도 복잡해 영업을 중단하고도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실제로 대구 도심과 경북 중소도시 곳곳에는 철거를 못 한 채 외관만 덮어둔 ‘유령 주유소’들이 눈에 띄고 있다.
영업은 중단됐지만, 건축물로 등록돼 재산세가 부과되고,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민원도 꾸준히 제기된다.

한 주유소 운영자는 “이익이 나지 않아 문을 닫고 싶어도 철거비용이 감당되지 않는다”며 “1년 단위로 휴업과 영업을 반복하거나 주차장으로 돌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