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로 정리한 뒤 책임 물어야… 명분 없는 청산은 역효과”
“모두가 책임자이자 주체… 계파 갈라치기식 혁신 안 돼”
“특검은 정치 보복, 대통령 인선은 국민 무시”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당 안팎에서 제기된 인적 쇄신 요구에 선을 그으며 “인적 청산을 먼저 말했는데, 일의 순서가 거꾸로 된 것 같다”며 “특정 계파를 몰아내는 방식의 혁신은 필패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송 위원장은 13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해 “검사가 수사하고 기소해야 법원이 심판할 수 있는 것처럼, 대선 백서 등을 통해 당시 상황을 정리하고 잘잘못을 가린 뒤 책임을 묻는 것이 순서”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런 절차를 생략하고 인적 청산부터 언급하니 명분과 당위성이 부족한 상황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어 “혁신은 특정 계파를 겨냥해 배제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국민에게도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며 “우리 모두가 책임을 공유하며, 모두가 혁신의 객체이자 주체라는 인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전 혁신위원장이 주장한 ‘대선 백서 우선 작성론’에 대해서는 “그 방향이 맞다”며 동의 입장을 밝혔다.
다음 달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두고는 “당이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국민에게 식상한 인물들이 또다시 나선다면 ‘결국은 그 정도구나’라는 실망을 안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검 수사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발했다.
송 위원장은 자당 의원들이 수사 대상에 오른 데 대해 “특검이 결국 권력의 칼이 되고, 독재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며 “야당 말살이나 정치 보복성 특검”이라고 비판했다.
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내란특별법’에 대해선 “정치적 연좌제이자 명백한 야당 탄압”이라며 “정치 보복적 입법”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장관 인선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 본인이 범죄 경력이 있다 보니 도덕성에 대한 판단 기준 자체가 흐릿해진 것 아니냐”며 “첫 내각에서 낙오 없이 전원 임명하겠다는 식의 접근은 야당 무시를 넘어 국민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