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의 국정 운영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추경 예산을 통한 역점 정책 방향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대구경북(TK) 지역 숙원사업이 예산에 반영되지 않거나 우선순위에서 밀리면서 ‘TK 홀대론’이 불거지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현 정부 내내 TK지역 대형 국책사업들이 빛을 보지 못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포항시 숙원사업인 영일만 횡단대교(영일만대교)로서, 건설 사업비 1821억원이 지난달 21일 정부 추경 예산안에서 전액 삭감됐다. 영일만대교는 그동안 사업추진이 지진부진하다 지난해 조사설계비와 공사비 예산이 확보되면서 영일만대교 건설이 본격 시작될 것이란 기대감이 일었다. 하지만 이번 추경 예산안에서 관련 예산이 전액 삭감되면서 시민들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여야 정치권도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에 출마한 박찬대 후보는 일주일간의 ‘호남살이’ 일정에 돌입해 광주 군공항 이전, 전남 국립의대 설립,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등 지역 현안을 직접 점검하고 초광역 인프라, 국책사업, 인재 채용 확대 등 호남 맞춤 전략을 약속했다.

반면 TK 정치권은 비판 목소리만 거셀 뿐 사실상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3대 특검 수사가 본격화 하면서 국민의힘이 당의 혁신을 놓고 다시 내홍에 휩싸이면서 지역 현안사업 성사를 위한 정치력 발휘는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TK 현안사업이 좌초될 위기에 처하자 지자체가 직접 정부를 상대로 지원을 요청하고 나선 모습이다. 경북도는 최근 통합신공항 교통·물류·산업 인프라, 영일만항 복합항만 확충, APEC 성공개최 등에 대해 국정과제 반영 추진을 정부에 요청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도 지난 10일 국정기획위원회 이한주 위원장과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박수현 위원장을 만나 신공항 건설, 취수원 이전 등 지역 핵심 사업의 국정과제 반영을 건의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과 더불어 최우선 국정과제로 제시한 것이 ‘민생’이다. 민생에는 진영이 따로 있고 지역이 따로 있을 수 없다. 나아가 민생 회복은 궁극적으로 국민통합과 균형발전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다. 특정지역만 발전한다고 달성되는 게 아니다. 지역홀대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질수록 민생과는 거리가 멀어질 뿐이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