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직 해병 채상병 사건'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현 소장)이 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에게 "국방부 장관이 혐의자 8명을 2명으로 줄이라"고 수사 외압을 행사한 녹취록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법조계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채상병특검팀은 최근 박 전 보좌관이 2023년 8월 채상병 사망 사건을 재검토하던 국방부 조사본부 장교 A씨와 대화하는 내용이 담긴 녹취록을 확보했다.
녹취록에 담긴 박 전 군사보좌관과 A씨와의 대화는 국방부조사본부가 해당 중간보고서를 만들어 국방부에 보낸 8월 14일 전후로 알려졌다.
해당 녹취에서 박 전 보좌관은 "상부에서 원하는 대로 해주면 안 되느냐"고 물었고, 상대가 "장관 지시냐"고 되물었다.
이에 박 전 보좍관이 "장관 지시 맞다. 6명으로 했는데 2명만 하는 게 맞지 않느냐"고 발언하는 등 구체적인 혐의자 수까지 언급하면서 혐의자를 축소해달라고 압박했다고 한다.
앞서 해병대 수사단은 2023년 7월, 임성근 전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해 경찰에 이첩했지만, 사건은 같은 날 군 검찰에 의해 회수돼 외압 의혹이 제기됐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이후 사건을 재검토해 같은 해 8월 21일 경북경찰청에 임 전 사단장 등 6명을 혐의자에서 제외하고 2명만 혐의자로 적시해 경북경찰청에 재이첩했다.
박 전 보좌관은 이에 앞서 채상병 사건 초동수사를 맡았던 해병대 수사단에 혐의자를 줄이라는 지침을 준 인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조만간 박 전 보좌관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박 전 보좌관은 2023년 말 소장으로 진급, 현재 육군 제56사단장으로 재직 중다.
이에 대해 이종섭 전 장관 측은 "혐의자를 2명만 하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한 사실이 없다"며 "재검토를 지시할 당시 국방부 검찰단 등 의견도 들으라고 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군사보좌관이 조사본부에 언급했다는 녹취 내용은, 법무관리관실과 검찰단 의견이 타당하다는 장관 의견을 전달한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