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거부 과정서 넘어져 허리·팔 통증 호소… 구치소 의무실로 이동
첫 시도 이어 두 번째 체포도 무산… 특검, 재청구 검토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7일 김건희 특검팀의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넘어져 허리와 팔에 통증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이 의자에 앉아 있던 윤 전 대통령을 강제로 인치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그가 바닥에 떨어졌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이날 오후 서울고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의 팔을 잡고 인치를 시도했으며, 완강히 거부하자 앉아 있던 의자를 통째로 들어 옮기려 했다”며 “이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넘어지고, 의자에서 떨어져 허리와 팔에 통증을 호소했다”고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 수사팀이 이날 체포영장 유효기간 마지막 날을 맞아 무리하게 완력을 행사하며 체포를 시도했다고 반발했다.
또한 "젊은 사람들 10여 명이 양쪽에서 팔과 다리를 잡고 윤 전 대통령을 차량에 태우려 했고, 완강히 저항하자 의자째 들고 옮기려 했다"며 "그 과정에서 의자가 뒤로 빠지며 바닥에 떨어졌고, 허리와 팔에 통증을 호소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오전 8시께 구치소 측 안내에 따라 '출정과장' 방에서 변호인을 만났으나, 특검팀은 이후 변호인에게 퇴실을 요구하며 강제집행을 시사했고, 변호인이 이를 거부하자 대치 상황이 이어졌다고 전했다.
"팔이 빠질 것 같다. 제발 좀 놔달라"는 윤 전 대통령의 항의 끝에 간신히 강제력에서 벗어났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특검은 이날 오전 8시 25분쯤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 도착해 체포영장 집행에 착수했다.
현장에는 교정당국 소속 기동대가 배치됐고, 특검보는 스피커폰을 통해 상황을 지휘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이 강하게 저항하면서 현장에서는 부상 우려가 제기됐고, 특검은 오전 9시 40분쯤 집행을 중단하고 철수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체포 시도 직후 구치소 내 의무실로 이동했다.
정확한 입실 사유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법조계 일각에선 체포 과정 중 물리적 충격에 따른 조치로 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당뇨 합병증에 따른 자율신경계 손상과 망막증, 경동맥 협착 등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날은 특검의 두 번째 체포 시도였다. 지난 1일 첫 시도 당시 윤 전 대통령은 속옷 차림으로 바닥에 누워 집행을 거부했고, 특검은 물리력 행사를 배제한 채 철수했다.
이번에는 법무부의 협조 지시에 따라 집행 시간이 앞당겨졌고, 물리력을 동원한 강제 인치가 시도됐다.
윤 전 대통령 측은 “구속된 피의자에 대한 체포영장을 받아 팔다리를 붙잡고 끌어내려 한 것은 헌정 사상 처음”이라며 “특검팀이 변호인을 내보내려 하고, 공무집행방해 운운하며 협박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불법행위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특검은 체포영장 유효기간이 이날로 만료됨에 따라 영장을 다시 청구하거나, 대면 조사 없이 윤 전 대통령을 기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