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고수온이 예사롭지 않다. 2020년 이후 지구는 온난화 경향을 뛰어넘어 순식간에 가열현상까지 드러내면서 동해안 해수온도가 급상승하고 있다는 보고가 쏟아지고 있다.

동해안 해수온의 급격한 상승은 동해안에 밀집된 원전 냉각수의 온도까지 끌어올리는 바람에 원전 가동이 냉각수의 허용 기준 온도 근접으로 멈춰 설 위기까지 다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사정이 이렇다면, 동해 연안 양식업의 피해는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더욱 신속하고 근원적으로 동해안 고수온에 대비한 철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1일 경북 연안에 고수온 주의보가 확대 발령됐다. 고수온 특보는 주의보 발표 약 7일 전에 예비주의보가 발령되며, 주의보는 수온 28℃ 도달 때 발효되고, 경보는 수온 28℃가 3일 이상 지속될 때 발령된다.

고수온 위기경보는 또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4단계로 발령되는데, 심각은 고수온 주의보가 15개 해역 이상일 때, 고수온 경보가 8개 해역 이상일 때, 고수온 특보기간 중 수산생물 피해가 발생했을 때 발령된다.

지난 5일,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포항 흥해 지역 양식장을 직접 방문해 현장의 애로사항 및 수산업 정책 전반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피해 예방을 당부했다.

이날 포항시와 어업인들은 현실을 반영해 현행 양식수산물재해보험의 치어 기준을 기존 50g에서 20g으로 완화해 줄 것을 건의했다.

현행 기준에 따르면, 중량 50g 미만의 치어는 보험 적용이 불가능해 자연재해로 폐사해도 보험금 한 푼 받지 못하고 어업인이 직접 피해를 떠안게 된다.

따라서 경북도와 포항·경주·영덕·울진 등 동해안 지자체는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 어민들의 의견을 수시로 청취하는 것은 물론 각종 대비 시설, 보험 가입, 피해 대책 등 꼼꼼한 대비책을 세울 의무가 있다.

이에 포항시는 6일 양식 어가의 재해 부담을 덜기 위한 양식수산물 재해보험료 지원도 한다고 밝혔다. 보험 자부담금의 70%를 지원하며 수산 재해로 인한 양식수산물 및 시설물 피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

포항시는 이 밖에도 히트펌프를 보급하는 양식장 친환경에너지 보급사업, 저층수 취수라인 개·보수 등을 위한 양식장 시설현대화사업, 어류 면역력 강화를 위한 수산동물 예방백신 공급사업 등 다양한 지원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

동해안 어민들은 사전에 지자체의 다양한 지원 정책들을 꼼꼼히 챙겨 고수온 피해 예방과 피해 복구에 적극 대비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