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의결 뒤 3시간 23분 지연…‘2차 계엄’ 검토 가능성 수사
결심지원실 회의·집무실 체류 경위 집중 조사
추경호·나경원 표결 방해 의혹도 병행 수사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
신원식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0일 신원식 전 국가안보실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오후 2시부터 조사했다. 지난 7일에 이어 두 번째 소환이다.

특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4일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된 뒤 실제 해제를 선포하기까지 3시간 23분이 걸린 경위에 주목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당시 곧바로 해제를 선포하지 않고 합동참모본부 지하 결심지원실로 이동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박안수 전 육군참모총장(당시 계엄사령관), 인성환 전 국가안보실 2차장, 최병옥 전 국방비서관 등과 약 30분간 회의를 진행했다.

이후 뒤늦게 결심지원실에 도착한 신 전 실장과 정진석 전 비서실장의 안내로 집무실로 돌아갔으나, 해제를 선포하기까지 2시간 넘게 무엇을 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특검은 이 시간 동안 2차 계엄이 검토됐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신 전 실장은 올해 2월 헌법재판소에서 “인 전 차장으로부터 ‘대통령이 결심지원실에 오래 있는 건 적절치 않다’는 전화를 받고, 정 전 실장과 함께 오전 1시 55분쯤 대통령을 집무실로 모셨다”고 진술했다.

그는 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도 참석했던 만큼,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일부 국무위원의 심의권을 침해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특검은 또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약 1시간 뒤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과 통화한 사실에도 주목하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가 대통령 지시를 받고 의총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해 표결 참여를 방해했는지, 또 우원식 국회의장에게 개의 연기를 요청한 경위도 수사 대상이다.

아울러 특검은 신 전 실장이 국방부 장관이던 지난해 3월 말,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등과 서울 삼청동 안전가옥에서 계엄 관련 구상을 들었다는 정황도 포착했다.

신 전 실장은 당시 이를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후 같은 해 8월 김 전 경호처장이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면서 안보실장으로 발령됐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