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비용 등 생각하면 지방선거때 실시 필요"
김영진 "지방선거 때 1단계, 총선서 2단계 개헌"

이재명정부의 1호 국정과제로 꼽힌 '개헌'이 이르면 내년 6·3 지방선거에서 국민투표에 부쳐질 전망이다. 

조승래 민주당 사무총장은 14일 SBS 라디오 방송 인터뷰를 통해 "비용 문제 등을 생각하면 전국 동시선거와 함께 개헌안 국민투표를 진행하는 게 필요하다"면서 "그래서 이르면 내년 지방선거로 저희가 약속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대통령 공약도 이르면 내년 지방선거에 개헌안 국민투표를 부치고, 늦어도 다음번 총선 때까지는 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18일 대선후보 당시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등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 분산’을 골자로 한 개헌안을 약속한 바 있다.

조 사무총장은 "개헌안을 발의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 의사가 충분히 확인되고, 그런 참여 속에서 개헌이 진행됐으면 좋겠다. 정부뿐 아니라 국회에서도 개헌특위 같은 것들을 구성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내년 지방선거와 2028년 총선 때 1·2단계로 나눠 개헌을 추진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친이재명계 핵심으로 꼽히는 김영진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올해 안에 국회에서 국민투표법을 개정해 개헌 국민투표를 위한 사전 준비 단계를 거치고,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여야가 합의하는 헌법 개정의 1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며 "그 후 총선 때 2단계 개헌을 통해 2030년 대선을 만들어가는 게 중장기적인 개헌 프로그램"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1단계 개헌안과 관련해선 "김대중·노무현·박근혜·이명박·문재인(정부) 시기를 거쳐 오면서 그래도 우리 사회가 사회적 합의를 해왔던 것이 대통령 연임제"라며 "연임과 중임을 해석하는 문제에 관해서 논란이 있는데 '4년 두 번으로 대통령 임기를 한정한다'는 게 정확한 얘기"라고 말했다.

이어 "일단 1단계 개헌은 대통령 연임제, 권력 분립을 위한 국무총리의 국회 추천제, 감사원의 독립, 결선투표제를 통해 그런 부분이 사회적 합의를 이끌 것으로 본다"며 "헌법 전문에 5·18 등 민주화운동에 관한 사안을 넣으면서 사회 변화를 반영하는 형태로 큰 틀에서 여야 합의 사항까지 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2단계는 조금 더 국민의 기본권, 사회권, 그다음에 건강권, 행복권까지 포함하는 구체적인 내용으로 갔으면 좋겠다. 1단계 개헌은 가능하지 않겠느냐"면서 "이번 정기국회 시기에 국회에 헌법개정특위를 꾸려 여야가 논의하고, 국민과 사회 여러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국민헌법개정특위를 포괄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것도 적극 검토해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현직 대통령의 형사 불소추 특권이 명시된 헌법 84조 개정 여부에 대해선 "87년 헌법에 준한 형태의 내용이기 때문에 지키면 되는데, 만약에 문제가 된다면 논의해볼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