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 아닌 평화 위한 노력”… 김여정 발언엔 유감 표명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을지 국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을지 국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20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이재명 대통령을 실명 비난하며 "한국은 외교 상대가 될 수 없다"고 한 데 대해 “북 당국자가 우리의 진정성 있는 노력을 왜곡해 표현한 것은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언론 공지를 통해 “이재명 정부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들은 일방의 이익이나 누구를 의식한 행보가 아니라 남과 북 모두의 안정과 번영을 위한 것”이라며 “정부는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뒤로하고 한반도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반드시 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약 한 시간 뒤에는 “북 당국자의 왜곡된 표현에 유감을 표한다”는 문구를 추가로 공개했다. 김여정 부부장의 거친 어조와 실명 비난에 대해서는 정면 대응을 피하면서도, 남북 신뢰 회복을 위한 이 정부의 행보가 ‘진정성 있는 노력’이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앞서 김 부부장은 전날 외무성 국장들과 협의회를 열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대외정책 구상을 전달했다며,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이재명 정권이 조한(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생색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악취 풍기는 대결 본심은 감출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의 을지국무회의 발언도 언급하며 “마디마디, 조항조항이 망상이고 개꿈”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또 이 대통령뿐 아니라 정동영 통일부 장관, 안규백 국방부 장관, 조현 외교부 장관 등 외교안보라인 주요 인사들을 실명 거론하며, “북한 정권과 북한군은 적”이라는 청문회 발언을 문제 삼았다. 한미 연합훈련 ‘을지 프리덤 실드(UFS)’에 대해서도 “핵·미사일 능력을 조기 제거하려는 침략 전쟁 연습”이라고 반발했다.

통일부도 이날 별도 입장을 내고 “남과 북 주민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서로에 대한 존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밝힌 대북·통일정책의 방향을 앞으로도 일관되게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대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