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방송토론회
두 후보 "당선되면 정청래 먼저 연락"
장동혁 "대선 패배 단일화 못했기 때문"
김문수 "그게 어떻게 단일화냐" 반박
특검 중앙당사 압수수색 대응 놓고
김 "몸으로 투쟁" 장 "말로 설득" 충돌
국민의힘 전당대회 결선에 진출한 김문수·장동혁 후보가 23일 마지막 방송토론회에서 “당대표가 되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먼저 연락하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 대선 ‘국민의힘 후보 단일화’ 문제 등을 놓고는 신경전을 벌였다.
김 후보와 장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결선 토론회에서 정청래 민주당 후보가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화환을 보냈는데 당 대표가 되면 먼저 연락하겠나는 물음에 나란히 ‘o’팻말을 들었다.

김 후보는 “전당대회에 화환을 보낸 것은 예의이기 때문에 서로 예의를 갖추는 것이 정치의 기본”이라며 “상대가 우리를 ‘사람이 아니다’라고 하는 건 받아들일 수 없지만 화환을 보낸 것에 대해서는 인사하는 게 옳다고 본다”고 했다.
장 후보도 “지난번과 상황이 바뀌었다”며 “이번 전당대회 때는 화환도 그렇고 민주당 인사도 참석했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이 협치 의사가 있다면 저도 대표가 되면 먼저 연락하고 협치의 물꼬를 틀 수 있는 노력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대선 당시 국민의힘 후보 단일화 문제에선 이견을 보였다.
장 후보는 “(김 후보가) 대선에 패배한 것은 계엄과 탄핵 때문이라고 말씀하시는 건 우리 당원들께서 납득하시기 어려울 것”이라며 지난 대선 국민의힘 후보 교체 문제를 거론했다.
이어 “정상적이지 않은 방법에 의해 후보 교체가 이뤄졌다는 것 자체가 후보께서 당원과 국민께 23번 약속하셨던 한덕수 전 총리와의 아름다운 단일화를 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후보는 “제가 대선 후보가 되고자 한 것도 아닌데 정말 불행하게도 우리 대통령께서 계엄으로 인해 파면이 되셔서 직을 잃어버렸기 때문에, 유고 상황에서 대선이 있어서 제가 후보로 나간 것”이라며 “당시 한덕수 총리로 (후보를) 교체하려고 했던 것이 어떻게 단일화냐”고 반박했다.
두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을 찬성했던 일명 찬탄 당내 인사에 대한 대응책을 놓고도 설전을 이어갔다.
장 후보는 “(김 후보는) 조경태, 안철수 후보도 품어야 한다고 말하셨다”며 “그런데 조경태 후보는 ‘500만 당원명부를 내줘야한다’, ‘당내에 내란동조세력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런 분과 같이 간다는 게 통합이냐”고 말했다.
김 후보는 “조 의원과 대화를 설득을 해야지 암세포 자르듯 잘라내야한다는건 과도한 발언”이라며 “다 잘라버리면 국민의힘은 누구랑 같이 일하느냐. 특히 대표 후보로 나온 분들은 정말 소중하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또, 한 전 대표와 전한길씨를 두고 입장차를 보였다.
김 후보는 ‘내년 선거 때 한 전 대표와 전씨 중 반드시 한 명을 공천해야 한다면 누구를 공천할 것이냐’는 질문에 한 전 대표를 택했다. 앞서 지난 19일 열린 방송토론회에서 같은 질문에 장 후보가 전씨를 꼽은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김 후보는 “한 전 대표는 우리 당의 대표를 했을 뿐 아니라 많은 장래가 있다”며 “한 전 대표가 선거에 나가서 우리 당을 필승으로 이끌 수 있는 곳에 적절히 공천을 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강성 보수 인사인 전광훈 목사나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와도 힘을 합치겠다고 했다. 그는 “이재명 독재 정권과 맞서 싸우기 위해선 많은 세력과 힘을 합쳐야 한다”며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이재명 독재를 물리칠 수 있는 모든 사람과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후보는 당대표가 되면 윤 전 대통령 부부 접견에 나서겠다고 밝히면서 윤 전 대통령과 절연이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장 후보는 “우리 당이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해야 한다고 하는데 절연할 것은 잘못된 과거”라며 “당대표가 되면 인간적인 예의를 지키겠다는 의미에서 접견하겠다고 말했고, 그 약속을 지키겠다”고 전했다.
두 후보는 특검의 국민의힘 중앙당사 압수수색에 대한 대응 방식에 대해서도 충돌했다.
김 후보는 “저는 특검과 맞서서 10박 11일째 농성 중”이라며 “특검이 그 뒤로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 후보는 당사를 지키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고 하는데 무엇을 하자는 것인가. 장 후보가 투쟁을 한다는데 무슨 투쟁을 어떻게 하자는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장 후보는 “김 후보가 당사를 지켜서 (압수수색 영장이) 집행이 안 된 게 아니라 당 지도부가 법리적으로 다퉈서 막은 것”이라며 “당사 출입문이 여러 개 있는데 김 후보가 막아서 불가능했다고 말하는 건 맞지 않다”고 맞받았다.
이에 김 후보는 “투쟁은 말로만 하는 게 아니라 다 같이 온몸으로 힘을 합쳐야 한다”고 했고, 장 후보는 “예전에는 의장석 점거나 출입문을 막는 게 가능했을지 모르지만 지금은 국회선진화법 때문에 몸싸움으로 하는 건 지나갔다. 말로 설득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로 짧은 정치경력과 원외인 점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였다.
장 후보가 “원외 당대표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거냐”고 묻자 김 후보는 “서로 쟁점이 다른 분들도 같이 모셔서 이야기를 많이 하겠다. 원내에 국한되는 소수 원내 정당이 아니라 많은 국민과 더불어 사는 그런 정당이 되겠다. 너무 원내 중심으로 가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장 후보에게 “저는 정치를 오래했지만 장 후보는 정치를 한지 불과 3년이 넘었는데 원외가 대표를 하면 안 된다고 말할 때는 한번 숙고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장 후보는 “저는 김 후보님이 원외라 안 된다고 한 게 아니다. 190석 가까운 거대여당과 싸우기 위해 원내 구심점이 되는 당대표가 싸움에서 훨씬 효율적일 수 있다고 말한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