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빅4 기업’ 납부 지방세
‘967억 → 157억’ 1년 새 급감
지역 주력산업 위기 커지면서
지방정부 재정까지도 직격탄
李시장 “K-스틸법 제정 시급”

- 이강덕 포항시장, "'K-스틸법' 조속 제정, 여당 지도부 상황 인식해야"
-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그룹 작년 지방세 157억원…2022년 967억원 비해 83.7% 급감
철강산업의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세수마저 급감해 포항시의 재정 운용이 큰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철강 ‘빅4 기업’으로 꼽히는 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그룹이 지난해 포항시에 납부한 지방세가 157억원으로 쪼그라들어 2022년 967억원에 비해 83.7%나 줄어들었다.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K-스틸법’ 제정과 더불어 정부가 기업의 기술 개발과 투자 확대에 즉각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27일 포항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지역 주력인 철강산업의 기반이 붕괴하는 것을 막기 위해 ‘K-스틸법’이 조속히 제정돼야 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렇게 밝혔다.
이 시장은 국내 철강업은 △중국발 저가 공세와 건설 경기 악화에 따른 수요 부진 △미국의 50% 관세 폭탄 △높은 산업용 전기료 △코 앞에 닥친 유럽의 탄소국경세 등 다중의 어려움에 빠지며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희망퇴직을 진행 중인 현대제철의 고용률이 13% 하락했고, 포스코와 철강 협력사들의 고용도 3~3.5%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이 시장은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철강 관세 얘기가 없었던 만큼 철강과 반도체 등의 관세인하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2~3년 후 물가 상승 미국의 경제변동에 따라 관세가 인하될 때까지 우리 기업들이 잘 견뎌낼 수 있도록 K-스틸법 제정 등 정부의 큰 역할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어 “이상휘 의원이 발의한 K-스틸법도 철강, 부속 등 2, 3차 기업을 지원하는 내용이 빠져있어 아쉽다”면서 “향후 국회 심의 과정에서 이러한 내용도 포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최근 여당 지도부가 경주 APEC 점검과 지원을 위해 경주시를 방문한 후 포항에 들르지 않고 가버린 부분에 대한 섭섭함도 드러냈다.
이 시장은 "여당 지도부를 포항에 모셔서 위기에 처한 포항 철강산업의 현실이 국가적으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적극적으로 호소해서 정부와 여당이 관련 정책 추진과 관세 인하 노력을 기울일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강덕 시장은 이날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의 시급성을 재차 강조하면서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중립을 위한 연구개발과 투자를 정부에 적극 건의해 기업의 신기술 연구개발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 기업들의 설비 노후화 해결을 위해 생산공정 혁신을 위한 시설 투자를 적극 확대해야 한다"면서 "자체 전력 확대를 위한 LNG발전소 확장, 청록수소 생산을 위한 사업도 적극 지원할 것"을 다짐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