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가 덤핑·내수 부진·트럼프발 미국 관세 등 위기에 빠진 국내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해 이강덕 포항시장이 직접 미국 수도 한복판에서 목소리를 높였다.
1일(현지시간) 이강덕 시장과 포항시 공무원, 버지니아한인회 관계자들은 백악관 앞에서 현수막을 들고 한국 철강산업의 위기를 알리는 캠페인을 벌였다.
현수막에는 영어와 한글로 “동맹국인 한국에 대한 철강 관세 부과를 멈춰달라”는 문구가 적혀있었다.
이 시장은 한국 철강산업이 관세 압박으로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며 국제 사회와 미국 정부에 계속해서 호소했다.
이 시장은 “정부가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지만 이 정도로는 산업 기반 붕괴를 막기 어렵다”며 “50%에 달하는 관세 폭탄이 심장을 멎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표단은 2일 오전 워싱턴에 있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무역관을 방문해 공식 건의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이어 오후에는 국회의사당 앞에서 피켓 시위를 이어가며 철강 관세 완화를 촉구할 계획이다.
포항은 국내 대표 철강 도시로 제조업 부가가치의 70% 이상을 1차 금속·금속가공업이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국산 저가 제품 공세, 건설경기 침체, 미국의 50% 고율 관세 삼중고가 겹치면서 지역 경제 근간 자체가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반영해 지난달 28일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지만 이 시장은 “이 조치만으로는 복합 위기를 막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은 “철강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 핵심 산업”이라며 “영국처럼 최소 25% 수준으로 조정하거나 제한적 쿼터 예외를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